[새만금 이용계획 20년만에 확정] 2020년까지 해수유통 허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새만금 간척사업의 최대 난제는 '환경'이다.
대규모의 농지를 조성하고 공단과 골프장 등을 건설하려면 수질을 깨끗하게 개선하고 담수화에도 성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20년까지 해수를 새만금 간척지에 유통시키고 전체 간척지의 10% 이상을 환경용지로 배정해 습지와 생태공원 등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환경단체들은 새만금에 담수호를 만들 경우 수질관리가 어려워 '시화호'와 같은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시적인 해수 유통을 전제로 한 생태형 관광지구'로 개발하자고 주장해왔다.
이에 대해 정부는 '한시적인 해수 유통을 허용하고 수질개선 대책을 마련한 뒤 담수호를 조성한다'는 쪽으로 개발 방침을 정했다.
갑문 조작을 통해 바닷물의 수위를 조절한 뒤 만경강 수역의 수질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가서 담수화를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한시적으로 해수가 유통되는 지역은 만경강 쪽이기 때문에 군산시 쪽에 인접한 일부 지역은 개발 완료 시기가 2030년으로 늦춰진다.
환경용지는 철새도래지를 보존하기 위해 습지 등 저류지와 생태공원 등으로 만들기로 했다.
한편 새만금 간척지를 매립하기 위해 토량(土量)은 2억~2억6000㎥ 정도가 소요되고,2030년 이후 외국인직접투자 활성화에 따른 산업단지를 조성할 경우에는 1억2000~1억6000만㎥가 추가로 들어갈 것으로 추정됐다.
정부는 산토(山土)나 바닷모래 등을 사용해 간척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바닷모래만 사용할 경우에는 간척사업비가 3조6000억원,흙을 사용할 경우 6조원이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됐다.
대규모의 농지를 조성하고 공단과 골프장 등을 건설하려면 수질을 깨끗하게 개선하고 담수화에도 성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20년까지 해수를 새만금 간척지에 유통시키고 전체 간척지의 10% 이상을 환경용지로 배정해 습지와 생태공원 등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환경단체들은 새만금에 담수호를 만들 경우 수질관리가 어려워 '시화호'와 같은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시적인 해수 유통을 전제로 한 생태형 관광지구'로 개발하자고 주장해왔다.
이에 대해 정부는 '한시적인 해수 유통을 허용하고 수질개선 대책을 마련한 뒤 담수호를 조성한다'는 쪽으로 개발 방침을 정했다.
갑문 조작을 통해 바닷물의 수위를 조절한 뒤 만경강 수역의 수질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시점에 가서 담수화를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한시적으로 해수가 유통되는 지역은 만경강 쪽이기 때문에 군산시 쪽에 인접한 일부 지역은 개발 완료 시기가 2030년으로 늦춰진다.
환경용지는 철새도래지를 보존하기 위해 습지 등 저류지와 생태공원 등으로 만들기로 했다.
한편 새만금 간척지를 매립하기 위해 토량(土量)은 2억~2억6000㎥ 정도가 소요되고,2030년 이후 외국인직접투자 활성화에 따른 산업단지를 조성할 경우에는 1억2000~1억6000만㎥가 추가로 들어갈 것으로 추정됐다.
정부는 산토(山土)나 바닷모래 등을 사용해 간척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바닷모래만 사용할 경우에는 간척사업비가 3조6000억원,흙을 사용할 경우 6조원이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