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産 제품은 추후 논의" … 한 · 미 FTA 통상장관 회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미 양국은 26일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을 위해 최종 통상장관급 회담을 시작했지만 자동차 무역구제 등 핵심 쟁점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다만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 문제는 "추후 적절한 시점에 논의한다"는 조항을 협정문에 넣는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해결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김종훈 한·미 FTA 한국 수석대표는 이날 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에서 "양측 의견이 팽팽하게 대립돼 의견차를 좁히기가 쉽지 않다"며 "첫날이어서 향후 협상 전망은 아직까지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협상 내용이 당초 기대에 못미치거나 미국이 쌀 등 수용할 수 없는 부분을 요구하면 결렬을 감수하고라도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은 이날 무역구제 개선과 관련,'업계가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수 있는 내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고 자동차에 대해선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미국의 관세가 철폐되지 않으면 세제 개선 등 미국의 관심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한편 권오규 경제부총리는 한·미 FTA와 관련,"빌트인 방식은 개성공단 문제에만 적용된다"며 "남북문제 외에 다른 쟁점에 빌트인이 적용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
다만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 문제는 "추후 적절한 시점에 논의한다"는 조항을 협정문에 넣는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해결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김종훈 한·미 FTA 한국 수석대표는 이날 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에서 "양측 의견이 팽팽하게 대립돼 의견차를 좁히기가 쉽지 않다"며 "첫날이어서 향후 협상 전망은 아직까지 불투명하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협상 내용이 당초 기대에 못미치거나 미국이 쌀 등 수용할 수 없는 부분을 요구하면 결렬을 감수하고라도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은 이날 무역구제 개선과 관련,'업계가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수 있는 내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고 자동차에 대해선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미국의 관세가 철폐되지 않으면 세제 개선 등 미국의 관심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한편 권오규 경제부총리는 한·미 FTA와 관련,"빌트인 방식은 개성공단 문제에만 적용된다"며 "남북문제 외에 다른 쟁점에 빌트인이 적용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