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이하 교총)가 현직 교원들의 의견을 정책에 적극 반영해 줄 '교육 대통령'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초·중·고교 교원들의 정치활동이 엄격하게 제한되고 있지만 교총 소속 대학교수들이 주축이 돼 정치활동에 나서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대입 3불(不) 정책,교원평가제, 교장공모제 등 교육문제가 대선의 핵심 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윤종건 교총 회장은 27일 서울 정동 세실레스토랑에서 교총 창립 60주년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0여년간 교총과 여당 간 공조체제가 없어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번에는 기필코 '코드'가 맞는 교육 대통령을 만들어 보겠다"고 말했다.

일단 교총은 지난 3월 실시한 교원 대상 여론조사에 이어 오는 5,7,9월 등 총 4회의 정기 여론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3월 조사의 경우 차기 대선 후보들 중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전체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지만 교육 정책면에서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앞섰다.

교총은 또 4월 초 '좋은 교육, 바른 정치 포럼'(가칭)을 발족, 대선 후보별 교육 선거공약을 분석·검증하는 한편 정책토론회 등도 개최할 방침이다.

윤 회장은 "상반기 중 차기 정부의 핵심 교육과제를 제시하고 반영을 요구할 것"이라며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등 타 교원단체 등과 협력하는 길도 열어두겠다"고 덧붙였다.

윤 회장은 "미국이나 일본만 해도 주요 교육정책은 대통령이 직접 브리핑을 할 정도인데 현 정부는 각종 위원회만 만들었지 실제로는 교육에 무관심하다"고 비판했다.

한편 윤 회장은 최근 교육계 이슈가 되고 있는 '3불 정책(기여입학제·본고사·고교 등급제 금지)'과 관련해서는 "궁극적으로 대학의 자율에 맡기는 것이 맞고 재검토가 불가피하다"면서도 "전면적인 (3불 정책) 해제는 많은 부작용이 따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단계적·점진적으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