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3세대 퓨전메모리 개발 … 용량·속도 스스로 조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전자는 모바일기기 생산 업체가 메모리 용량과 정보처리 속도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3세대 퓨전 메모리 '플렉스-원낸드(Flex-OneNAND)'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7일 발표했다.
황창규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사장은 이날 대만 웨스틴호텔에서 '삼성 모바일 솔루션(SMS)' 포럼을 열고 플렉스-원낸드를 비롯한 차세대 모바일 신제품 5종을 선보였다.
이 가운데 플렉스-원낸드는 기존 원낸드의 고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두 종류의 낸드플래시인 싱글레벨셀(SLC)과 멀티레벨셀(MLC)을 하나의 칩에 구현,하이브리드 카처럼 SLC의 고성능과 MLC의 저비용 고용량 장점을 통합한 퓨전 반도체다.
완제품 업체들이 이 반도체를 채택하면 용량(2∼4기가)과 속도를 임의로 조절해 다양한 조합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반도체의 기능을 하나의 칩에 집적시키는 '원칩 솔루션(One Chip Solution)'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황 사장은 "2분기부터 이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라며 "플렉스 원낸드를 포함한 퓨전 메모리로 향후 5년간 100억달러 이상의 누적 매출을 달성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노트북 PC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낸드플래시로 대체하는 64기가바이트 플래시 SSD(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와 1.4마이크로미터 840만화소 CMOS 이미지 센서 등도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타이베이(대만)=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
황창규 삼성전자 반도체총괄 사장은 이날 대만 웨스틴호텔에서 '삼성 모바일 솔루션(SMS)' 포럼을 열고 플렉스-원낸드를 비롯한 차세대 모바일 신제품 5종을 선보였다.
이 가운데 플렉스-원낸드는 기존 원낸드의 고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두 종류의 낸드플래시인 싱글레벨셀(SLC)과 멀티레벨셀(MLC)을 하나의 칩에 구현,하이브리드 카처럼 SLC의 고성능과 MLC의 저비용 고용량 장점을 통합한 퓨전 반도체다.
완제품 업체들이 이 반도체를 채택하면 용량(2∼4기가)과 속도를 임의로 조절해 다양한 조합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반도체의 기능을 하나의 칩에 집적시키는 '원칩 솔루션(One Chip Solution)'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황 사장은 "2분기부터 이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라며 "플렉스 원낸드를 포함한 퓨전 메모리로 향후 5년간 100억달러 이상의 누적 매출을 달성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노트북 PC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낸드플래시로 대체하는 64기가바이트 플래시 SSD(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와 1.4마이크로미터 840만화소 CMOS 이미지 센서 등도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타이베이(대만)=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