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CEO] 한국건설기술연구원‥'하이브리드' 기술 구조용 부재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이 기사는 BizⓝCEO 기획특별판 입니다 >
연구단 세부과제 2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실용화
콘크리트코리아 연구단의 두 번째 연구 분야는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부재 개발 및 실용화'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조직했으며, 연구는 3가지 테마로 진행되고 있다.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부재 개발 및 활용 ▲하이브리드 보강기법을 활용한 실용적 고강도 구조용 부재개발 ▲고성능 콘크리트 시공계측 센서 및 모니터링시스템 개발 등이 세부적인 연구과제다.
해당분야는 유럽, 북미 및 일본 등 건설 선진국에서도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중인 것으로 연구단은 건설 선진국에 뒤지지 않는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미래지향적인 콘크리트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첫 번째 연구과제는 설계기준 강도 150~200MPa급의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량 거더(Girder), 복공판 등 구조부재의 단면을 30% 이상 줄이고, 수명을 2배 이상 향상시킨 경제적인 구조부재를 개발 및 실용화할 계획이다.
두 번째 연구과제는 여러 종류의 섬유를 동시에 적용해 '하이브리드' 콘크리트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구조부재의 강성 및 연성을 25~3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콘크리트 타설 시 철근이 과도하게 배근되는 것을 방지하며, 치밀하고 표면이 매끈한 고품질 콘크리트 공사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세 번째 연구과제는 콘크리트 시공 전 과정에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계측 및 모니터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연구단 관계자는 "하이브리드 보강기술 개발을 통해 특수화, 대형화, 고성능, 초고층화 되어가는 현대 건설시장의 요구를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양승현 기자 yangsk@hankyung.com
연구단 세부과제 2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실용화
콘크리트코리아 연구단의 두 번째 연구 분야는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부재 개발 및 실용화'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조직했으며, 연구는 3가지 테마로 진행되고 있다.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부재 개발 및 활용 ▲하이브리드 보강기법을 활용한 실용적 고강도 구조용 부재개발 ▲고성능 콘크리트 시공계측 센서 및 모니터링시스템 개발 등이 세부적인 연구과제다.
해당분야는 유럽, 북미 및 일본 등 건설 선진국에서도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중인 것으로 연구단은 건설 선진국에 뒤지지 않는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미래지향적인 콘크리트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첫 번째 연구과제는 설계기준 강도 150~200MPa급의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량 거더(Girder), 복공판 등 구조부재의 단면을 30% 이상 줄이고, 수명을 2배 이상 향상시킨 경제적인 구조부재를 개발 및 실용화할 계획이다.
두 번째 연구과제는 여러 종류의 섬유를 동시에 적용해 '하이브리드' 콘크리트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구조부재의 강성 및 연성을 25~3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콘크리트 타설 시 철근이 과도하게 배근되는 것을 방지하며, 치밀하고 표면이 매끈한 고품질 콘크리트 공사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세 번째 연구과제는 콘크리트 시공 전 과정에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계측 및 모니터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연구단 관계자는 "하이브리드 보강기술 개발을 통해 특수화, 대형화, 고성능, 초고층화 되어가는 현대 건설시장의 요구를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양승현 기자 yangs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