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서비스수지 적자가 월간 기준으로 사상 최대 규모를 나타냈다.

여행수지 적자는 줄었지만 특허권 사용료와 무역 관련 서비스 대외지급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다만 1월 적자를 기록했던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흑자폭이 커지면서 흑자로 돌아섰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월 중 국제수지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서비스수지 적자는 25억5000만달러로 1월(19억4000만달러)보다 6억1000만달러 증가했다.

이는 이제까지 월 단위로 서비스수지 적자가 가장 컸던 지난해 8월(-20억8700만달러)보다도 5억달러가량 많은 것이다.

여행수지 적자는 10억6000만달러로 전달(-14억7000만달러)에 비해 4억1000만달러 줄었다.

반면 운수수지는 설 연휴로 인한 영업일수 축소로 흑자규모가 1억달러 줄었고,특허권 사용료,무역 관련 서비스 등 기타서비스수지 적자는 전달 5억8000만달러에서 14억9000만달러로 크게 확대됐다.

상품수지는 수출이 꾸준히 늘고 있는 데다 유가도 비교적 안정돼 전달보다 11억9000만달러 늘어난 24억8000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1월에 4억3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던 경상수지가 덕분에 4억9000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