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문제가 처음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2003년 8월30일 정부가 FTA 추진 로드맵을 발표하면서부터였다.

동시다발적으로 FTA를 추진하되 일본 싱가포르 아세안 멕시코 등과 우선적으로 맺고 미국 중국 일본과는 중장기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이때만 해도 미국과의 FTA는 중장기 과제였다.

한·미 FTA의 본격적인 신호탄은 2006년 1월18일 노무현 대통령의 신년연설에서 나왔다.

노 대통령은 "우리 경제의 미래를 위해 미국과도 자유무역협정을 맺어야 한다"며 "조율이 되는 대로 협상을 시작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미 FTA로 한국경제 돌파구를 찾겠다는 강한 의지의 표현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김종훈 한·미 FTA 협상단 수석대표는 그해 2월3일 한·미 FTA 협상의 공식 출범을 선언했다.

이후 한·미 FTA는 한국 정치와 경제 사회 등 전 분야에 논란과 파장을 던지며 우여곡절을 겪어야 했다.

한·미 양국 협상단은 지난해 6월5일 워싱턴에서 개최된 1차 협상을 시작으로 서울과 시애틀 제주도 몬태나 등을 오가며 여덟 번의 본협상과 각종 공식·비공식 접촉을 갖고 산적한 쟁점들에 대한 이견을 좁혀 나갔다.

하지만 쌀과 자동차 섬유 등 몇 가지 핵심 쟁점분야에서 접점을 찾지 못해 평행선을 달리기도 했다.

장외에선 농민과 노동자 등은 물론 일부 정치권의 격렬한 반대가 들끓었다.

한·미 양국은 이달 말로 접어들면서 협상을 위한 최종 담판에 들어갔다.

지난 26일부터 서울 하얏트호텔에서 개최된 고위급 회담에서 모든 쟁점이 처리될 때까지 협상을 계속하는 '끝장 토론' 방식으로 결론을 내기로 했다.

D-데이는 미국 무역촉진권한(TPA)의 효력 문제가 걸려 30일 밤 12시로 맞춰졌다.

협상장 주변에 대외장관회의가 연기되고 협상 시한이 하루 연장된다는 얘기가 나도는 등 혼란도 적지 않았다.

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