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맞수] (발기부전 치료제 4强) 자이데나‥최초 국산치료제…부작용 최소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다국적 제약사 화이자가 지난해 글로벌 차원에서 진행한 '성생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들은 남성의 91%와 여성의 85%가 만족스러운 삶에 성(性)은 필수 요소라고 응답했다.
흥미로운 것은 이들 중 현재 성생활에 '매우 만족한다'라고 답한 사람은 남성 9%,여성 7%밖에 되지 않는다.
향후 발기부전치료제 시장이 얼마나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실제로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은 올해 국내 의약품 시장에서 가장 치열한 경합이 펼쳐지는 분야 중 하나다.
현재 화이자의 '비아그라', 릴리의 '시알리스', 동아제약의 '자이데나', 종근당의 '야일라'(레비트라) 등 4개 제품이 나와 있다.
지난해 국내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자이데나의 약진이다.
동아제약이 국내 제약사로는 처음으로 독자 개발한 자이데나는 지난해 발매 1년 만에 매출 100억원을 넘어서는 놀라운 성과를 거뒀다.
그러자 자이데나에 3위 자리를 내준 바이엘은 종근당과의 제휴를 통해 반격에 나서고 있다.
종근당은 레비트라를 야일라로 이름을 바꿔 지난 2월 출시, 한달반 만에 25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그러나 발기부전 치료제의 대명사로 통하는 비아그라와 가장 긴 약효 지속 시간을 자랑하는 시알리스 등 선두 주자들의 아성이 만만치 않은 데다 SK케미칼도 독자 개발한 발기부전 치료제 '엠빅스'를 출시할 예정이어서 시장은 더욱 뜨겁게 달아오를 전망이다.
---------------------------------------------------------
자이데나는 동아제약이 9년간의 연구개발 노력 끝에 내놓은 최초의 국산 발기부전 치료제다.
기존의 발기부전 치료제에 비해 강력한 발기 유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기존 제품이 갖고 있는 주요 부작용(눈 충혈, 고환 독성, 근육통)을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 제품의 경우 발기 지속 시간이 너무 짧거나, 너무 긴 것이 단점으로 지적됐었는데 자이데나의 경우 최적화된 작용 시간(12시간)을 갖고 있어 기존 제품보다 차별화된 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동아제약 측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자이데나는 지난해 한국신약개발조합이 주관한 '제7회 대한민국 신약개발상'에서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자이데나는 발매 첫 해인 2006년 한 해 동안 약 110억원의 매출을 달성, 국내 시장에서는 이미 인정을 받았다는 평가다.
국내 제약사가 개발한 국산 신약이 발매 1년 만에 100억원대의 매출을 달성한 것은 자이데나가 처음이다.
자이데나는 시장점유율로는 19.8%(판매량 기준)를 차지해 6.6%에 그친 레비트라를 제치고 3위에 올라섰다.
자이데나는 국내 돌풍의 여세를 몰아 해외 진출에도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세계 30여개국에서 이미 특허 등록을 마쳤으며, 최근 중동 수출에 이어 중국 진출을 위해 중국 식약청에 의약품 수입 신청을 한 상태다.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자이데나의 임상 2상시험 완료 데이터를 분석 중에 있어 선진국 시장에서도 곧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아제약은 향후 자이데나를 발기부전 치료제뿐 아니라 전립선비대증 폐동맥고혈압 등의 치료제로도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자이데나와 약효원리가 같은 비아그라도 최근 미국에서 폐동맥 고혈압 치료제로 인정받은 바 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
흥미로운 것은 이들 중 현재 성생활에 '매우 만족한다'라고 답한 사람은 남성 9%,여성 7%밖에 되지 않는다.
향후 발기부전치료제 시장이 얼마나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실제로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은 올해 국내 의약품 시장에서 가장 치열한 경합이 펼쳐지는 분야 중 하나다.
현재 화이자의 '비아그라', 릴리의 '시알리스', 동아제약의 '자이데나', 종근당의 '야일라'(레비트라) 등 4개 제품이 나와 있다.
지난해 국내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자이데나의 약진이다.
동아제약이 국내 제약사로는 처음으로 독자 개발한 자이데나는 지난해 발매 1년 만에 매출 100억원을 넘어서는 놀라운 성과를 거뒀다.
그러자 자이데나에 3위 자리를 내준 바이엘은 종근당과의 제휴를 통해 반격에 나서고 있다.
종근당은 레비트라를 야일라로 이름을 바꿔 지난 2월 출시, 한달반 만에 25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그러나 발기부전 치료제의 대명사로 통하는 비아그라와 가장 긴 약효 지속 시간을 자랑하는 시알리스 등 선두 주자들의 아성이 만만치 않은 데다 SK케미칼도 독자 개발한 발기부전 치료제 '엠빅스'를 출시할 예정이어서 시장은 더욱 뜨겁게 달아오를 전망이다.
---------------------------------------------------------
자이데나는 동아제약이 9년간의 연구개발 노력 끝에 내놓은 최초의 국산 발기부전 치료제다.
기존의 발기부전 치료제에 비해 강력한 발기 유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기존 제품이 갖고 있는 주요 부작용(눈 충혈, 고환 독성, 근육통)을 최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 제품의 경우 발기 지속 시간이 너무 짧거나, 너무 긴 것이 단점으로 지적됐었는데 자이데나의 경우 최적화된 작용 시간(12시간)을 갖고 있어 기존 제품보다 차별화된 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동아제약 측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자이데나는 지난해 한국신약개발조합이 주관한 '제7회 대한민국 신약개발상'에서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자이데나는 발매 첫 해인 2006년 한 해 동안 약 110억원의 매출을 달성, 국내 시장에서는 이미 인정을 받았다는 평가다.
국내 제약사가 개발한 국산 신약이 발매 1년 만에 100억원대의 매출을 달성한 것은 자이데나가 처음이다.
자이데나는 시장점유율로는 19.8%(판매량 기준)를 차지해 6.6%에 그친 레비트라를 제치고 3위에 올라섰다.
자이데나는 국내 돌풍의 여세를 몰아 해외 진출에도 발 빠르게 나서고 있다.
세계 30여개국에서 이미 특허 등록을 마쳤으며, 최근 중동 수출에 이어 중국 진출을 위해 중국 식약청에 의약품 수입 신청을 한 상태다.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자이데나의 임상 2상시험 완료 데이터를 분석 중에 있어 선진국 시장에서도 곧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아제약은 향후 자이데나를 발기부전 치료제뿐 아니라 전립선비대증 폐동맥고혈압 등의 치료제로도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자이데나와 약효원리가 같은 비아그라도 최근 미국에서 폐동맥 고혈압 치료제로 인정받은 바 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