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부시 미 대통령의 외교정책이 전임자인 빌 클린턴의 정책을 닮아가고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1일 분석했다.

뉴욕타임스는 부시 행정부가 취임 초부터 클린턴 행정부의 정책을 모두 뒤집어 엎는 이른바 'ABC(Anyting But Clinton) 정책'을 고수해 왔었지만 최근 들어 북핵과 중동문제에 대처하는 방식에서 클린턴 시대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이 최근 들어 북핵문제에 전임자들과 유사한 입장을 채택했으며 그 결과물이 2.13 베이징 합의였다면서 베이징 합의에 대해 보수진영 등에서 클린턴 시대의 제네바 핵합의에 비해 악화되지는 않았지만 나아지지도 않았다는 불평이 터져 나왔을 정도라고 말했다.

라이스 장관은 또한 지난주 중동순방을 통해 중동특사 임명과 팔레스타인 최종지위 문제에 대한 해결의지를 내비쳤다면서 이 두 가지는 클린턴 시대의 유산으로 그동안 부시 행정부에서는 논의되지 않았던 사안들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부시 행정부가 북핵과 중동문제에 대해 새로운 외교라고 할만한 변화를 보인 배경에는 네오콘의 퇴조에 따라 라이스 장관이 드디어 자신의 색깔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란 해석과 부시 행정부의 정책실패와 의회 세력판도 변화로 인한 정책 선회라는 해석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고 소개했다.

라이스 장관이 온건 아랍진영의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의 진전이 이뤄져야 한다는 소신을 갖고 있었지만 강경파에 밀려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강경파의 퇴조를 틈타 자신의 소신을 밀어붙이고 있다는 것.
여기에 실패로 끝난 일방주의적 외교정책에 대한 반성과 때마침 이뤄진 의회의 세력판도 변화로 인해 외교정책의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는 분석도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설명했다.

그러나 뉴욕타임스는 부시 외교정책이 클린턴 시대로 회귀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부시 1기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낸 콜린 파월의 정책을 닮아가고 있는 것이란 주장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다.

파월 장관 밑에서 중동문제 보좌관으로 일했던 우드로 윌슨 센터의 아런 데이비드 밀러는 클린턴 전 대통령은 중동문제 해결을 개인의 업적으로 남기려 했지만 부시 대통령은 다르다면서 라이스 장관이 따라하는 것은 클린턴 전 대통령이 아니라 파월 전 장관의 외교정책이라고 주장했다.

(뉴욕연합뉴스) 김계환 특파원 kp@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