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건설교통부 장관은 2일 "청약제도 개편으로 청약부금 가입자들이 불리해지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기자실을 방문한 자리에서 "9월부터 청약가점제가 도입되면 청약부금 가입자들이 불리해진다는 분석이 있으나 이는 오해"라면서 "청약저축 가입자들보다 기회가 적어지는 것은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 장관은 작년을 예로 들면서 "청약저축 가입자중 무주택자는 200만명, 분양가구는 2만6천가구였던 데 비해 청약부금과 소액 청약예금 가입자중 무주택자는 178만명, 분양가구는 14만3천가구여서 청약부금.소액 청약예금 가입자의 분양 기회가 훨씬 많았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가 공공의 역할을 강화해 나가면 민간의 공급이 줄어 청약부금 활용 기회가 줄지 않겠느냐는 우려에 대해 "정부는 현재 43(공공)대 57(민간)의 비율을 53대 47로 조정할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그렇다고 청약부금 가입자들이 불이익을 당한다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간의 공급위축 우려와 관련해서도 "분양가 상한제가 되더라도 적정한 이윤을 보장해 주기 때문에 공급이 위축되지 않을 것"이라면서 "1999년 분양가가 자율화되기 이전에도 공급이 부족하지는 않았으며 오히려 분양가가 자율화된 이후에 공급이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지난주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 사우디아라비아 등을 순방했던 이 장관은 "이번 순방으로 우리나라 건설업체가 더 많이 수주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됐다"면서 "올해 해외건술 수주 목표를 180억달러로 정했는데 200억달러는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강남대체 신도시가 발표되면 부동산시장을 불안하게 만들 수 있지 않겠느냐는 질문에 "신도시 발표는 부동산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동원하는 수단"이라면서 "신도시 발표가 집값을 들썩이게 히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대답했다.

(서울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sungj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