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남북 정상회담설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2·13 합의로 북핵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은 데 이어 북·미의 관계 개선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고 여기에 한·미 FTA 협상 타결을 계기로 한·미 동맹 관계가 복원 조짐을 보이는 등 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한반도 주변 조건이 한층 무르익어 가는 상황이다.

성사 여부를 떠나 정상회담을 위한 전제 조건이 하나씩 하나씩 충족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무엇보다 핵심 조건인 북핵문제 해결은 2·13 합의로 탄력을 받고 있다.

방코델타아시아(BDA) 문제로 다소 시간이 걸리고 있지만 북한의 해결 의지는 확고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이미 6자회담에서 핵시설 불능화를 수개월 내에 이행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인 터다.

심각한 경제난을 겪고 있는 북한으로선 미국과의 관계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에서 북핵 문제를 다시 원점으로 돌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북한이 핵시설 불능화 약속을 이행한다면 이는 곧바로 미국과의 관계 개선으로 이어진다.

북·미는 협상을 통해 북한의 테러국 지정 제외와 대북 제재 해제,연락사무소 설치,수교 등의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뉴욕에서 열린 양국 간 실무 접촉에서 북한은 연락사무소 설치 단계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수교하는 문제까지 제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합의를 깨지 않는 한 북·미 관계 개선은 시간 문제다.

FTA 협상 타결은 한·미관계 복원에 분명 긍정적인 신호다.

참여정부 출범 후 야기된 균열을 해소하고 새로운 관계를 정립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셈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6월 미국을 방문,조지 부시 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4일 "한·미 간 고위급 전략협의에서 한·미 동맹관계와 함께 한·미 정상회담도 의제로 다뤄졌을 것"이라고 이를 뒷받침했다.

한·미 정상회담은 그간의 불편한 관계를 해소,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마지막 부담을 제거하는 자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

범여권의 비선 조직을 통한 정상회담 타진도 이런 흐름과 맥을 같이한다.

노 대통령 측근인 안희정씨의 북한 관계자 접촉과 지난 3월 초 이해찬 전 총리의 방북 등은 정상회담을 위한 탐색전 성격이 강하다.

청와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한반도 주변 여건은 남북 정상회담 성사 쪽으로 기우는 듯한 분위기다.

정상회담이 8·15 전후 중국 베이징이나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 등에서 열릴 것이라는 성급한 전망이 벌써부터 나오는 이유다.

이재창/이심기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