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승진 산림청장] "中 네이멍구에 직접 조림...황사해결 나설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림의 기능과 가치가 변하고 있다.
과거 산림은 목재 자원 확보 차원에서 민둥산 녹화 사업에 주로 초점이 맞춰졌다.
그러나 최근 산림은 악화하고 있는 황사 예방은 물론 탄소배출권 확보,휴양림 제공 등 다양한 방향으로 진화,발전하고 있다.
전체 면적의 64%가 산림으로 이뤄진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기와 6·25전쟁 등을 겪으면서 국토의 대부분이 초토화하는 아픔을 겪었다.
정부는 1967년 1월 산림청을 발족시킨 뒤 1973년부터 10년 단위의 산림 계획을 수립,치산 녹화와 산지 자원화 사업을 추진해왔다.
황폐지 73만ha를 복구했고 350만ha의 산에 100억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곳곳에 벌건 속살을 드러냈던 산야는 대부분 녹지로 변했다.
5일 식목일을 앞두고 서승진 산림청장(54)을 만나 우리나라 산림 행정의 '100년 대계(大計)'를 들어봤다.
산림청은 올해로 개청 40주년을 맞는다.
-산림 행정이 이제 단순히 나무를 심고 산불이나 예방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있는 것 같은데요.
"산림의 활용 방안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황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몽골 등과 사막화 방지 논의를 진행 중입니다.
인도네시아와는 방파림 조성 등을 통해 지진해일 피해를 최소화하는 문제를 협의하고 있습니다.
또 목재 자원 및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해외 조림에도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임산 자원의 산업화 기반 마련과 BT(생명공학)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기술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의 산림 휴양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산림휴양 시설을 대폭 늘릴 것입니다."
-황사 피해 방지를 위한 국제협력사업은 어떻게 추진하고 있나요.
"지난해 8월 정부 차원의 '황사피해 방지 종합대책'을 마련했습니다.
황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은 결국 나무를 심는 것밖에 없다고 봅니다.
2001~2005년까지 녹색자금을 민간 단체에 지원해 네이멍구 등 중국 서부지역 8000여ha에 대한 조림사업과 공동연구 등 협력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5월 노무현 대통령이 몽골을 방문했을 때 합의한 몽골 그린벨트 조림사업도 체계적으로 수행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 사업은 산림청이 직접 나서 올해부터 오는 2016년까지 9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총 3000ha의 사막화 방지 조림을 실시하는 것입니다."
-탄소배출권 및 목재 자원 확보를 위해 해외 조림 사업에도 적극 눈을 돌려야 한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해외 조림 사업은 투자의 장기성과 불확실성 및 임지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솔직히 그동안 활성화하지 못했습니다.
산림청은 1993년부터 오는 2050년까지 100만ha의 해외 조림을 목표로 설정했지만 현재 7개 업체가 7개국에 진출해 12만ha만을 조림하는 데 그치고 있습니다.
그래서 국가 차원에서 임지 확보에 적극 나서 지난해 8월 우리나라와 30년 이상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해온 인도네시아로부터 서울시 면적의 8배에 달하는 50만ha의 임지를 제공받는 데 합의했습니다.
현재 10여개 기업이 조림을 위한 사전조사를 진행 중이어서 내년부터 본격적인 조림이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산림 정책도 변해야 하겠지요.
"우선 국토 녹화의 성공을 바탕으로 이젠 '심는' 정책에서 '가꾸고 누리는' 쪽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그래서 산림을 즐거운 쉼터로 만들어야겠죠.또 개도국 산림 녹화 지원과 해외 조림 등 국제협력 사업을 확대하고 기후변화,생물 다양성,사막화 방지 등 3대 환경협약 이행을 주도해 환경 리더 국가로 자리매김해야 합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산림바이오매스 등 BT와 ET(환경공학)에 기반을 둔 산림산업 육성 정책도 적극 펼쳐야 합니다."
-'가꾸고 누리는' 산림문화 육성을 위해 어떤 정책을 펼치고 있나요.
"지난해 8월부터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면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 '숲에 On'이라는 브랜드를 개발하고 산림문화 및 휴양 관련 인증 제도의 조기 정착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올해 산림휴양소 16개소를 새로 조성,모두 123개소로 늘릴 것입니다.
산림을 의학적 치유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치유의 숲' 조성도 구상하고 있습니다.
도시생활권 등산로 정비와 등산정보 시스템도 구축하고 있습니다."
-산불로 연간 서울 남산 면적의 13배가 넘는 4436ha의 산림 자원이 사라지고 있는데요.
"대부분 산불은 사람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대국민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무인 감시카메라 및 항공기를 활용해 입체적으로 산불을 감시하는 시스템을 철저히 가동하고 있습니다.
산불 발생시 어느 지역이라도 30분 이내에 출동할 수 있도록 전국을 8개 권역으로 나누어 46대의 헬기를 전진 배치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소나무 재선충병 등 각종 병충해가 극성을 부리고 있는데요.
"재선충병은 일단 감염이 되면 치사율이 100%에 달해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정확한 조사를 위해 항공촬영 카메라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재선충병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가 우화(번데기)하는 5월 중에는 항공방제를 집중 실시할 것입니다.
또 문화재 주변 우량 소나무림 1150ha를 대상으로 예방용 백신을 접종하는 등 사전 방제 활동을 펴고 있습니다.
아울러 감염목의 무단 이동도 막고 있습니다."
-숲가꾸기 사업이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는데요.
"우리 산림은 녹화는 끝냈지만 아직까지 자원으로서의 가치는 미약합니다.
30년이 채 안 된 어린 나무가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한창 가꾸어줘야 할 단계입니다.
ha당 임목 축적량이 79㎥로 스위스의 4분의 1,일본의 3분의 1도 안 되는 수준이지요.
시급히 가꾸어야 할 산림 면적이 215만ha에 달합니다.
2004년부터 시작해 2008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100만ha의 숲을 가꾸고 있습니다."
-산림의 난개발을 막기 위한 대책은 있나요.
"우리나라는 국토면적 대비 개발 가능 토지가 적다 보니 산림이 중요한 토지 공급원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도로 및 주택·산업용지 등으로 연간 7000여ha의 산지가 전용되고 있습니다.
오는 2020년까지 신규 토지 수요는 38만5000ha에 달할 전망입니다.
산지 개발에는 자연 훼손이 뒤따르게 마련입니다.
자연 친화적인 개발 유도와 함께 백두대간 등 핵심 지역에 대한 보전대책이 시급합니다.
현재 보전이 꼭 필요한 산지는 보호지역으로 지정,타 용도 전용을 막고 있습니다.
또 개발이 필요한 경우 엄격한 산지 전용 허가 기준을 적용해 자연 친화적 개발을 유도할 계획입니다."
대전=백창현 기자 chbaik@hankyung.com
과거 산림은 목재 자원 확보 차원에서 민둥산 녹화 사업에 주로 초점이 맞춰졌다.
그러나 최근 산림은 악화하고 있는 황사 예방은 물론 탄소배출권 확보,휴양림 제공 등 다양한 방향으로 진화,발전하고 있다.
전체 면적의 64%가 산림으로 이뤄진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기와 6·25전쟁 등을 겪으면서 국토의 대부분이 초토화하는 아픔을 겪었다.
정부는 1967년 1월 산림청을 발족시킨 뒤 1973년부터 10년 단위의 산림 계획을 수립,치산 녹화와 산지 자원화 사업을 추진해왔다.
황폐지 73만ha를 복구했고 350만ha의 산에 100억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곳곳에 벌건 속살을 드러냈던 산야는 대부분 녹지로 변했다.
5일 식목일을 앞두고 서승진 산림청장(54)을 만나 우리나라 산림 행정의 '100년 대계(大計)'를 들어봤다.
산림청은 올해로 개청 40주년을 맞는다.
-산림 행정이 이제 단순히 나무를 심고 산불이나 예방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있는 것 같은데요.
"산림의 활용 방안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황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 몽골 등과 사막화 방지 논의를 진행 중입니다.
인도네시아와는 방파림 조성 등을 통해 지진해일 피해를 최소화하는 문제를 협의하고 있습니다.
또 목재 자원 및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해외 조림에도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임산 자원의 산업화 기반 마련과 BT(생명공학)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기술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의 산림 휴양 욕구에 부응하기 위해 산림휴양 시설을 대폭 늘릴 것입니다."
-황사 피해 방지를 위한 국제협력사업은 어떻게 추진하고 있나요.
"지난해 8월 정부 차원의 '황사피해 방지 종합대책'을 마련했습니다.
황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은 결국 나무를 심는 것밖에 없다고 봅니다.
2001~2005년까지 녹색자금을 민간 단체에 지원해 네이멍구 등 중국 서부지역 8000여ha에 대한 조림사업과 공동연구 등 협력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5월 노무현 대통령이 몽골을 방문했을 때 합의한 몽골 그린벨트 조림사업도 체계적으로 수행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 사업은 산림청이 직접 나서 올해부터 오는 2016년까지 9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총 3000ha의 사막화 방지 조림을 실시하는 것입니다."
-탄소배출권 및 목재 자원 확보를 위해 해외 조림 사업에도 적극 눈을 돌려야 한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해외 조림 사업은 투자의 장기성과 불확실성 및 임지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솔직히 그동안 활성화하지 못했습니다.
산림청은 1993년부터 오는 2050년까지 100만ha의 해외 조림을 목표로 설정했지만 현재 7개 업체가 7개국에 진출해 12만ha만을 조림하는 데 그치고 있습니다.
그래서 국가 차원에서 임지 확보에 적극 나서 지난해 8월 우리나라와 30년 이상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해온 인도네시아로부터 서울시 면적의 8배에 달하는 50만ha의 임지를 제공받는 데 합의했습니다.
현재 10여개 기업이 조림을 위한 사전조사를 진행 중이어서 내년부터 본격적인 조림이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산림 정책도 변해야 하겠지요.
"우선 국토 녹화의 성공을 바탕으로 이젠 '심는' 정책에서 '가꾸고 누리는' 쪽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그래서 산림을 즐거운 쉼터로 만들어야겠죠.또 개도국 산림 녹화 지원과 해외 조림 등 국제협력 사업을 확대하고 기후변화,생물 다양성,사막화 방지 등 3대 환경협약 이행을 주도해 환경 리더 국가로 자리매김해야 합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산림바이오매스 등 BT와 ET(환경공학)에 기반을 둔 산림산업 육성 정책도 적극 펼쳐야 합니다."
-'가꾸고 누리는' 산림문화 육성을 위해 어떤 정책을 펼치고 있나요.
"지난해 8월부터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면서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 '숲에 On'이라는 브랜드를 개발하고 산림문화 및 휴양 관련 인증 제도의 조기 정착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올해 산림휴양소 16개소를 새로 조성,모두 123개소로 늘릴 것입니다.
산림을 의학적 치유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치유의 숲' 조성도 구상하고 있습니다.
도시생활권 등산로 정비와 등산정보 시스템도 구축하고 있습니다."
-산불로 연간 서울 남산 면적의 13배가 넘는 4436ha의 산림 자원이 사라지고 있는데요.
"대부분 산불은 사람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대국민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무인 감시카메라 및 항공기를 활용해 입체적으로 산불을 감시하는 시스템을 철저히 가동하고 있습니다.
산불 발생시 어느 지역이라도 30분 이내에 출동할 수 있도록 전국을 8개 권역으로 나누어 46대의 헬기를 전진 배치했습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소나무 재선충병 등 각종 병충해가 극성을 부리고 있는데요.
"재선충병은 일단 감염이 되면 치사율이 100%에 달해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정확한 조사를 위해 항공촬영 카메라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재선충병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가 우화(번데기)하는 5월 중에는 항공방제를 집중 실시할 것입니다.
또 문화재 주변 우량 소나무림 1150ha를 대상으로 예방용 백신을 접종하는 등 사전 방제 활동을 펴고 있습니다.
아울러 감염목의 무단 이동도 막고 있습니다."
-숲가꾸기 사업이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는데요.
"우리 산림은 녹화는 끝냈지만 아직까지 자원으로서의 가치는 미약합니다.
30년이 채 안 된 어린 나무가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한창 가꾸어줘야 할 단계입니다.
ha당 임목 축적량이 79㎥로 스위스의 4분의 1,일본의 3분의 1도 안 되는 수준이지요.
시급히 가꾸어야 할 산림 면적이 215만ha에 달합니다.
2004년부터 시작해 2008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100만ha의 숲을 가꾸고 있습니다."
-산림의 난개발을 막기 위한 대책은 있나요.
"우리나라는 국토면적 대비 개발 가능 토지가 적다 보니 산림이 중요한 토지 공급원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도로 및 주택·산업용지 등으로 연간 7000여ha의 산지가 전용되고 있습니다.
오는 2020년까지 신규 토지 수요는 38만5000ha에 달할 전망입니다.
산지 개발에는 자연 훼손이 뒤따르게 마련입니다.
자연 친화적인 개발 유도와 함께 백두대간 등 핵심 지역에 대한 보전대책이 시급합니다.
현재 보전이 꼭 필요한 산지는 보호지역으로 지정,타 용도 전용을 막고 있습니다.
또 개발이 필요한 경우 엄격한 산지 전용 허가 기준을 적용해 자연 친화적 개발을 유도할 계획입니다."
대전=백창현 기자 chbai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