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징 & 데코] (11) 욕실 리모델링 … 냄새 심하면 배수구 밑 점검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욕실 냄새가 심하다면 우선 다섯 가지를 확인해야 한다.
먼저 바닥 배수구 아래 설치된 육가다.
육가는 물로 1cm 두께의 층을 만들어 배수구 내부의 냄새가 위로 올라오지 못하도록 만들어진 배수도구이다.
집을 오랫동안 비웠을 때 욕실 냄새가 심해지는 것은 육가 속의 물이 말라 버렸기 때문이다.
육가가 망가졌거나 육가 주변 바닥에 금이 생기면 역한 냄새가 난다.
세면대 배수구가 관통하는 벽 부분에 틈이 생겨도 냄새가 난다.
변기 바닥과 배수구의 연결 지점도 요주의 지점이다.
욕조에서 나는 경우도 있는데 욕조의 배수 파이프를 바닥 배수구에 무리하게 집어넣으면서 흠집이 생기면 악취 원인이 된다.
수리하려면 육가는 5만원(노임 포함),변기 주변 7만원,세면대 2만~3만원,욕조는 35만원 정도 소요된다.
끝으로 환기 시설에 문제가 있는 경우다.
아파트는 보통 옥상의 공용 환기구를 통해 전 가구의 욕실 냄새를 배출하는데 환기구가 고장나 반대로 돌면 공기가 역류해 냄새가 심해질 수 있다.
1년에 한 번씩은 정기적으로 점검이 필요하며 단독주택 가운데도 환기구가 있다면 확인해 봐야 한다.
먼저 바닥 배수구 아래 설치된 육가다.
육가는 물로 1cm 두께의 층을 만들어 배수구 내부의 냄새가 위로 올라오지 못하도록 만들어진 배수도구이다.
집을 오랫동안 비웠을 때 욕실 냄새가 심해지는 것은 육가 속의 물이 말라 버렸기 때문이다.
육가가 망가졌거나 육가 주변 바닥에 금이 생기면 역한 냄새가 난다.
세면대 배수구가 관통하는 벽 부분에 틈이 생겨도 냄새가 난다.
변기 바닥과 배수구의 연결 지점도 요주의 지점이다.
욕조에서 나는 경우도 있는데 욕조의 배수 파이프를 바닥 배수구에 무리하게 집어넣으면서 흠집이 생기면 악취 원인이 된다.
수리하려면 육가는 5만원(노임 포함),변기 주변 7만원,세면대 2만~3만원,욕조는 35만원 정도 소요된다.
끝으로 환기 시설에 문제가 있는 경우다.
아파트는 보통 옥상의 공용 환기구를 통해 전 가구의 욕실 냄새를 배출하는데 환기구가 고장나 반대로 돌면 공기가 역류해 냄새가 심해질 수 있다.
1년에 한 번씩은 정기적으로 점검이 필요하며 단독주택 가운데도 환기구가 있다면 확인해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