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선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와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6일 각각 자신들의 과학기술 및 교육 관련 정책구상을 밝혔다.

박 전 대표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과학기술 혁신포럼'창립기념 특강에서 "구국의 심정으로 이공계를 살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가 전체의 연구개발(R&D)투자비를 현재 국내총생산(GDP)대비 3%에서 5%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을 갖고 있다"며 "정부 R&D 예산의 25%에 불과한 기초과학 연구 투자도 50%까지 늘리겠다"고 약속했다.

박 전 대표는 이어 "국가 경영을 맡게 되면 통신산업을 '생산자중심'에서 '소비자중심'체제로 바꿔 칸막이 규제,요금 규제,보조금 규제 등을 풀도록 해 통신요금을 지금보다 30%는 낮추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학고 전액 장학금 지원 △과학기술인 연금제도 도입 △3불(본고사·기여입학제·고교등급제 금지)제도 전면 재검토 방안도 제시했다.

이 전 시장은 자신의 지지파인 이군현 의원이 주도하는 '한국교육비전포럼'창립식에 참석,"교육부가 30년 동안 대학 입시 제도를 갖고 있었지만,아직도 (교육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며 "초기에 대학을 자율에 맡겼더라면 지금쯤 우리 대학은 굉장한 경쟁력을 가졌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교육비전포럼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원리에 입각한 교육을 지향하는 초·중·고 교사 등 1000여명으로 구성됐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