父子경영 성공 포인트 ‥ 신뢰와 존경 바탕…못하는 얘기 없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에서 가장 어려운 의사결정 중 하나는 최고경영자(CEO) 승계다.
가족 기업에서도 어떻게 회사를 물려주느냐 하는 문제는 큰 고민거리다.
실제 아버지는 권좌에서 물러나려 하지 않고 아들은 아버지의 그림자에서 벗어나려 하기 때문에 충돌이 생기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부모와 자녀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무리 없이 경영권을 승계한 기업들도 상당수다.
비즈니스위크 최신호(4월16일자)는 철저한 승계 준비와 상호 신뢰,존경 등이 가족기업의 안정성을 높이는 요소라고 분석했다.
◆아르셀로 인수는 아들 아이디어
세계 1위 철강 업체인 아르셀로미탈의 락시미 미탈 회장(57)과 그의 아들 아디트야 미탈(31)은 인수·합병(M&A)으로 회사를 키우는 과정에서 찰떡궁합을 자랑했다.
현재 아르셀로미탈의 최고재무책임자(CFO)로 근무하고 있는 아디트야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을 졸업하고 아버지 회사에서 재무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M&A에 깊숙이 개입했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숫자에 밝은 아디트야는 2001년 경기침체 국면에서 철강 회사들의 주가가 폭락하자 헐값에 이들 회사를 인수하면서 국제기구나 정부의 자금 지원까지 받아냈다.
특히 미탈을 세계 1위로 도약하게 만든 아르셀로(룩셈부르크 철강 업체) 인수도 아디트야의 아이디어에서 나왔다.
비즈니스위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철강 업체 인수 과정에서 아르셀로와 경쟁을 벌이다 인수 가격이 40%나 높아진 경험을 한 아디트야는 앞으로 다른 M&A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며 미탈을 설득했다.
미탈은 아디트야의 제안을 받아들였고 결국 아르셀로에 대한 적대적 M&A를 성공시켰다.
비즈니스위크는 미탈과 아디트야의 관계가 상호 존경과 권력 분점에 성공한 대표적 사례라고 지적했다.
물론 이런 성공의 기반은 두 사람 간의 신뢰다.
아디트야는 "아버지와 하루 두 차례 이상 전화 통화를 하는데 서로 이야기하지 못하는 사안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미탈은 "아들의 나이가 어리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의 아이디어와 지적인 능력,새로운 제안,확신을 존중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관계가 이어지면서 아디트야가 미탈의 후계자가 될 것이란 전망에 의문을 품는 사람은 거의 없다.
◆부자 승계 이점은 핵심경쟁력 계승
부자 승계의 이점 가운데 하나는 기업의 핵심 경쟁력이 잘 계승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례로 이동통신 칩을 만드는 미국 퀄컴의 경우 창업자 어윈 제이콥스의 아들 폴 제이콥스가 경영권을 승계했는데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엔지니어인 폴은 기술 혁신에 매진해 비교적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
멕시코 재벌로 세계 3위 부자인 카를로스 슬림도 아버지의 성공 방정식을 이어받아 대박을 터뜨렸다.
그의 아버지는 멕시코 혁명 때 "절대 멕시코는 망하지 않는다"는 신념으로 멕시코시티 중심부의 땅을 사 큰돈을 벌었다.
카를로스 슬림도 멕시코 정국 혼란과 내전 등 주요 고비 때마다 헐값에 기업을 사들였는데 어떤 기업은 매입 가격 대비 3000배의 수익을 올리기도 했다.
가족 간 우애가 깊은 것으로 알려진 카를로스는 세 아들에게 회사 주요 직책을 맡기며 승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 미국 최대 케이블TV 사업자인 컴캐스트의 창업자 랠프 로버츠는 아들 브라이언에게 충분한 경영수업 기회를 준 뒤 안정적으로 경영권을 넘겨줬다.
미국 부동산 재벌 도널드 트럼프는 두 딸과 아들에게 부동산개발이나 관리 업무를 맡겨 승계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잡음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가족 간 불화다.
호주의 언론 재벌 루퍼트 머독은 전처 소생의 장남 래클런을 매우 아꼈다. 그러나 래클런은 계모와의 알력으로 뉴스코퍼레이션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야 했다.
현재는 차남 제임스가 영국의 B스카이B 채널 CEO로 실권을 장악해가고 있다.
하버드대 경영대학원의 존 데이비스 교수는 "가족 기업에서 통상 부모와 자식 간에는 미묘한 긴장이 생길 수 있다"며 "개인적,감정적 이슈를 뛰어넘어 서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자세를 가져야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
가족 기업에서도 어떻게 회사를 물려주느냐 하는 문제는 큰 고민거리다.
실제 아버지는 권좌에서 물러나려 하지 않고 아들은 아버지의 그림자에서 벗어나려 하기 때문에 충돌이 생기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부모와 자녀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무리 없이 경영권을 승계한 기업들도 상당수다.
비즈니스위크 최신호(4월16일자)는 철저한 승계 준비와 상호 신뢰,존경 등이 가족기업의 안정성을 높이는 요소라고 분석했다.
◆아르셀로 인수는 아들 아이디어
세계 1위 철강 업체인 아르셀로미탈의 락시미 미탈 회장(57)과 그의 아들 아디트야 미탈(31)은 인수·합병(M&A)으로 회사를 키우는 과정에서 찰떡궁합을 자랑했다.
현재 아르셀로미탈의 최고재무책임자(CFO)로 근무하고 있는 아디트야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을 졸업하고 아버지 회사에서 재무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M&A에 깊숙이 개입했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숫자에 밝은 아디트야는 2001년 경기침체 국면에서 철강 회사들의 주가가 폭락하자 헐값에 이들 회사를 인수하면서 국제기구나 정부의 자금 지원까지 받아냈다.
특히 미탈을 세계 1위로 도약하게 만든 아르셀로(룩셈부르크 철강 업체) 인수도 아디트야의 아이디어에서 나왔다.
비즈니스위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철강 업체 인수 과정에서 아르셀로와 경쟁을 벌이다 인수 가격이 40%나 높아진 경험을 한 아디트야는 앞으로 다른 M&A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며 미탈을 설득했다.
미탈은 아디트야의 제안을 받아들였고 결국 아르셀로에 대한 적대적 M&A를 성공시켰다.
비즈니스위크는 미탈과 아디트야의 관계가 상호 존경과 권력 분점에 성공한 대표적 사례라고 지적했다.
물론 이런 성공의 기반은 두 사람 간의 신뢰다.
아디트야는 "아버지와 하루 두 차례 이상 전화 통화를 하는데 서로 이야기하지 못하는 사안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미탈은 "아들의 나이가 어리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의 아이디어와 지적인 능력,새로운 제안,확신을 존중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관계가 이어지면서 아디트야가 미탈의 후계자가 될 것이란 전망에 의문을 품는 사람은 거의 없다.
◆부자 승계 이점은 핵심경쟁력 계승
부자 승계의 이점 가운데 하나는 기업의 핵심 경쟁력이 잘 계승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례로 이동통신 칩을 만드는 미국 퀄컴의 경우 창업자 어윈 제이콥스의 아들 폴 제이콥스가 경영권을 승계했는데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엔지니어인 폴은 기술 혁신에 매진해 비교적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
멕시코 재벌로 세계 3위 부자인 카를로스 슬림도 아버지의 성공 방정식을 이어받아 대박을 터뜨렸다.
그의 아버지는 멕시코 혁명 때 "절대 멕시코는 망하지 않는다"는 신념으로 멕시코시티 중심부의 땅을 사 큰돈을 벌었다.
카를로스 슬림도 멕시코 정국 혼란과 내전 등 주요 고비 때마다 헐값에 기업을 사들였는데 어떤 기업은 매입 가격 대비 3000배의 수익을 올리기도 했다.
가족 간 우애가 깊은 것으로 알려진 카를로스는 세 아들에게 회사 주요 직책을 맡기며 승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 미국 최대 케이블TV 사업자인 컴캐스트의 창업자 랠프 로버츠는 아들 브라이언에게 충분한 경영수업 기회를 준 뒤 안정적으로 경영권을 넘겨줬다.
미국 부동산 재벌 도널드 트럼프는 두 딸과 아들에게 부동산개발이나 관리 업무를 맡겨 승계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잡음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가족 간 불화다.
호주의 언론 재벌 루퍼트 머독은 전처 소생의 장남 래클런을 매우 아꼈다. 그러나 래클런은 계모와의 알력으로 뉴스코퍼레이션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야 했다.
현재는 차남 제임스가 영국의 B스카이B 채널 CEO로 실권을 장악해가고 있다.
하버드대 경영대학원의 존 데이비스 교수는 "가족 기업에서 통상 부모와 자식 간에는 미묘한 긴장이 생길 수 있다"며 "개인적,감정적 이슈를 뛰어넘어 서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자세를 가져야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