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업계는 감사중...삼성그룹, 경영진단 LG도 사업성 정밀분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그룹의 전략기획실 산하 전략지원팀(옛 감사팀)은 최근 삼성전자 국내영업사업부에 대한 경영진단에 착수했다. 삼성전자 감사실이 진단의 실무를 맡았다.
국내영업사업부는 반도체와 LCD패널,통신장비 등을 제외하고 삼성전자가 만드는 모든 제품을 내수 시장에 판매하는 조직. 이 사업부가 그룹으로부터 경영 진단을 받게 된 건 지난 3년간 삼성전자의 내수 매출이 8조원대 초반에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내수시장 점유율은 에어컨 등 가전제품의 경우 선두주자인 LG전자를 여전히 따라잡지 못하고 있고 TV는 지난해 LG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2년 전 취임한 장창덕 부사장(국내영업사업부장)이 고객만족(CS)을 최우선 과제로 내놓은 이후 자체적으로 조사하는 고객만족도지수(CSI)는 높아졌는데 시장점유율과 매출 등 경영 실적은 나아지지 않아 진단에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LG그룹에서는 지난해 약 8790억원의 적자를 낸 LG필립스LCD에 대한 그룹차원의 경영진단이 진행되고 있다. 경영진단은 ㈜LG의 정도경영TFT와 LG경제연구소가 함께 맡았다.
LG 관계자는 "그룹의 감사팀인 정도경영TFT와 컨설턴트 역할을 하는 LG경제연구소가 함께 진단에 나섰다는 건 그동안의 실적악화에 대해선 철저히 책임을 묻는 한편 LCD 시장의 향후 트렌드를 분석,이에 맞는 장기 전략 재수립에 나섰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풀이했다. 특히 신임 권영수 사장이 취임한 지 이제 4개월밖에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감사'보다는 '컨설팅'에 무게가 실린 것이라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감사를 받는 계열사마다 조금씩 사정은 다르지만 그룹 차원의 경영진단이 전자 분야에 집중되고 있다는 건 채산성 악화 등 전자업계의 위기가 실제상황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
국내영업사업부는 반도체와 LCD패널,통신장비 등을 제외하고 삼성전자가 만드는 모든 제품을 내수 시장에 판매하는 조직. 이 사업부가 그룹으로부터 경영 진단을 받게 된 건 지난 3년간 삼성전자의 내수 매출이 8조원대 초반에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내수시장 점유율은 에어컨 등 가전제품의 경우 선두주자인 LG전자를 여전히 따라잡지 못하고 있고 TV는 지난해 LG에 1위 자리를 내줬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2년 전 취임한 장창덕 부사장(국내영업사업부장)이 고객만족(CS)을 최우선 과제로 내놓은 이후 자체적으로 조사하는 고객만족도지수(CSI)는 높아졌는데 시장점유율과 매출 등 경영 실적은 나아지지 않아 진단에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LG그룹에서는 지난해 약 8790억원의 적자를 낸 LG필립스LCD에 대한 그룹차원의 경영진단이 진행되고 있다. 경영진단은 ㈜LG의 정도경영TFT와 LG경제연구소가 함께 맡았다.
LG 관계자는 "그룹의 감사팀인 정도경영TFT와 컨설턴트 역할을 하는 LG경제연구소가 함께 진단에 나섰다는 건 그동안의 실적악화에 대해선 철저히 책임을 묻는 한편 LCD 시장의 향후 트렌드를 분석,이에 맞는 장기 전략 재수립에 나섰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풀이했다. 특히 신임 권영수 사장이 취임한 지 이제 4개월밖에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감사'보다는 '컨설팅'에 무게가 실린 것이라는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감사를 받는 계열사마다 조금씩 사정은 다르지만 그룹 차원의 경영진단이 전자 분야에 집중되고 있다는 건 채산성 악화 등 전자업계의 위기가 실제상황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