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다.

SK는 이를 위해 향후 2년간 기존 계열사 간 순환출자 고리를 끊는 지분 정리 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SK의 지주회사 체제 전환은 '소버린 사태'를 불러온 취약한 지배력을 개선하는 한편 지배구조 단순화를 통해 주주가치 극대화 및 기업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풀이되고 있다.

SK그룹의 핵심 기업인 SK㈜는 11일 이사회를 열고 7월1일자로 회사를 순수지주회사(가칭 SK홀딩스)와 사업자회사(가칭 SK에너지화학)로 분할,그룹을 지주회사 체제로 바꾸기로 의결했다.

이에 따라 SK㈜는 지주회사 행위제한 요건 충족 기한인 2009년 6월까지 기존 복잡한 순환출자 구조를 해소하고,지주회사가 각 계열사를 지배하는 단순한 구조로 재편한다.

지주회사는 SK에너지화학,SK텔레콤,SK네트웍스,SK E&S,SKC,SK해운,K-POWER 등 7개 주요 사업자회사를 거느린다.

또 이들 자회사는 각기 사업 분야가 유사한 SK인천정유,대한송유관공사,텔링크,텔레시스,SK가스 등 27개 회사 주식을 나눠 보유하면서 이들 회사를 손자회사로 둔다.

SK는 그러나 최태원 SK 회장의 사촌 동생인 최창원 SK케미칼 부회장이 대주주로 있는 SK케미칼과 이 회사가 지배하고 있는 SK건설은 지주회사 체제 전환 이후의 수직 출자구조에서 배제했다.

이번에 SK㈜가 채택한 분할 방식은 회사 재산과 주주 보유 주식 분할을 함께 진행하는 인적 분할로,SK㈜ 기존 주주는 이번 분할에 따라 1주당 순수지주회사 주식 0.29주,사업자회사 주식 0.71주를 할당받는다.

한편 최태원 회장은 보유 중인 워커힐호텔 주식 325만주(40.69%,평가액 1200억원)를 SK네트웍스에 무상 출연하기로 했다.

SK네트웍스는 이날 이사회를 열고 이를 의결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