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한나라당 前대표는 11일 여의도 증권업협회에서 가진 시중 증권사 지점장들과의 간담회에서 자본시장통합법의 상반기 국회 통과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 前대표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제대로된 정책을 만들 수 있다"면서 이날 간담회의 취지를 설명하고, "자본시장의 발전을 위해서는 자통법의 조기 시행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근혜 前대표는 간접투자 확대 등 주식시장이 성장을 구가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한 업계의 노고를 치하한 가운데 선진국 대비 주식 자산의 비중이 낮다는 점 등에서 아직도 금융 산업의 발전 여지가 많이 남아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박 前대표는 "감세와 규제완화 등을 통해 금융 시장의 발전을 도모하다 보면 주가 3000P 시대도 달성 가능한 목표"라면서 "자통법이 통과되면 금융 시장 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통법과 관련, 최대 쟁점이 되고 있는 증권사들의 지급결제 업무 허용과 관련해서는 관리 부담이나 은행들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자본시장을 키워 나가면서 미비한 부분을 보완해가는 과감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박 대표와 함께 간담회에 참석한 엄승호 재경위 한나라당 간사도 "다소 반발은 있겠지만 지급결제 업무가 허용되지 않는다면 자통법의 의미가 사실상 퇴색된다는 점에서 반드시 필요한 조치"라고 말했다.

엄 의원은 12일 재경위 공청회와 23일 금융소위 법안심의를 거쳐 빠르면 27일쯤엔 자통법안이 재경위 전체 회의에 상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박근혜 前대표는 한미 FTA의 국회 비준에 대해서도 "보완해야할 점이 남아있지만 그 동안의 노력이 헛수고가 되지 않도록 취약 부분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해 국회에서 통과되도록 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FTA 체결 이후 주가가 크게 올랐다는 점을 지적하며 심리적인 요인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실감했다면서 추가적인 과정도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FTA 협의에서 금융을 비롯한 서비스 산업에 대해 개방이 덜된 부분이 있음을 지적하며, 추후 논의를 거쳐 시장을 넓힐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박 전대표는 자본시장뿐 아니라 국가발전을 위해서는 감세 정책과 필요없는 규제는 완화하는 과감한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정부의 역할을 조금씩 줄여 민간의 자율성과 창의력, 추진력을 높여줄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황건호 증권업협회 회장을 비롯해, 엄호성 서병수, 유승민 의원 등 한나라당 의원들이 참석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sere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