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와 이라크 정부 간 유전개발 사업 참여를 위한 협력 채널이 구축돼 한국 기업들의 이라크 유전개발 참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 이라크 정부가 유전 관련 인프라 재건에 한국 기업의 참여를 요청,건설 플랜트 등 관련 기업들이 대거 이라크에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김영주 산업자원부 장관은 12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이라크의 후세인 알-샤리스타니 석유부 장관 및 파우지 알-하리리 산업부 장관과 회담을 갖고 '한·이라크 포괄적 유전개발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국 정부는 유전개발 분야 정부 간 협력채널 구축을 위해 장관급 자원협력위원회를 설치키로 했다.

이를 위해 이르면 5월 말께 이라크 바그다드 또는 제3국에서 고위급 실무회담을 열기로 했다.

양국 정부는 한국 기업의 이라크 신규 광구 입찰 참여를 적극 지원하고 이라크 유전 및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합작법인 설립 등 이라크 유전개발 투자를 확대하며,두 나라 국영 석유회사 간 기술·인력·정보 교류 등 협력 체제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샤리스타니 석유부 장관은 이 자리에서 이라크 남동부 할파야 광구에 한국 기업의 참여를 긍정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 광구는 1997년 석유공사가 이라크 석유부와 생산물 분배계약에 가서명,참여가 예정돼 있었으나 이후 유엔의 이라크 경제 제재 등 국제 정세가 악화되면서 참여가 무산된 광구다.

이 광구의 매장량은 34억~38억배럴로 하루 25만배럴의 생산이 가능하다.

이라크 측은 새 석유법이 국회에서 통과되면 한국 기업의 참여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며 새 석유법은 5월 말께 통과될 전망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