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리츠펀드 '함박' … 채권형 인기는 '시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 들어 국내 펀드시장에서 해외 리츠(REITs·부동산투자신탁)가 큰 인기를 모은 반면 채권형 펀드의 인기는 전년에 이어 시들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 작년 말에 비해 펀드 설정 잔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회사는 맥쿼리IMM자산운용으로 올 들어 지난 11일까지 4개월여 동안 무려 2조1500억원 증가했다.
이는 맥쿼리IMM이 운용하는 '글로벌리츠재간접클래스A'가 8000억원 넘게 판매되는 등 해외 리츠와 인프라펀드 등이 인기를 끈 데 따른 것이다.
맥쿼리IMM의 문희섭 마케팅부장은 "주식이나 채권 같은 전통적인 투자자산보다는 새로운 대안 투자를 모색하는 고객이 늘어나면서 리츠 펀드 등으로 자금 유입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맥쿼리에 이어 인덱스펀드 등의 판매 호조로 미래에셋맵스의 펀드 잔액이 1조8500억원 늘어났으며 농협의 머니마켓펀드(MMF) 위탁 증가에 힘입어 농협CA투신은 1조4800억원의 자금을 새로 끌어들였다.
또 서울자산운용과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도 1조원 이상을 유치했다.
반면 최근 수익률 하락으로 채권형 펀드에서 자금 이탈 현상이 일어나면서 대한투신운용과 한국투신운용에서는 올 들어 각각 1조7400억원과 1조4600억원이 빠져나갔다.
또 우리CS자산운용과 유리자산운용 푸르덴셜자산운용도 다른 회사에 비해 설정잔액이 많이 줄어들었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
13일 자산운용협회에 따르면 작년 말에 비해 펀드 설정 잔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회사는 맥쿼리IMM자산운용으로 올 들어 지난 11일까지 4개월여 동안 무려 2조1500억원 증가했다.
이는 맥쿼리IMM이 운용하는 '글로벌리츠재간접클래스A'가 8000억원 넘게 판매되는 등 해외 리츠와 인프라펀드 등이 인기를 끈 데 따른 것이다.
맥쿼리IMM의 문희섭 마케팅부장은 "주식이나 채권 같은 전통적인 투자자산보다는 새로운 대안 투자를 모색하는 고객이 늘어나면서 리츠 펀드 등으로 자금 유입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맥쿼리에 이어 인덱스펀드 등의 판매 호조로 미래에셋맵스의 펀드 잔액이 1조8500억원 늘어났으며 농협의 머니마켓펀드(MMF) 위탁 증가에 힘입어 농협CA투신은 1조4800억원의 자금을 새로 끌어들였다.
또 서울자산운용과 프랭클린템플턴투신운용도 1조원 이상을 유치했다.
반면 최근 수익률 하락으로 채권형 펀드에서 자금 이탈 현상이 일어나면서 대한투신운용과 한국투신운용에서는 올 들어 각각 1조7400억원과 1조4600억원이 빠져나갔다.
또 우리CS자산운용과 유리자산운용 푸르덴셜자산운용도 다른 회사에 비해 설정잔액이 많이 줄어들었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