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 "단식중단…마음이 허락안해" 수척해진 외모…물ㆍ소금만으로 단식 19일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범여권의 대선주자 중 한 명인 천정배 의원의 단식 농성이 계속되고 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반대하며 지난달 26일 국회의사당 앞마당에 천막을 치고 행동에 나선 지 13일로 19일째다.
이날 단식 천막에서 만난 그의 모습은 무척 수척해져 있었다.
희끗한 수염이 덥수룩했고,목소리는 바로 옆에 있지 않으면 알아듣기 힘들 정도로 가늘어져 있었다.
힘이 많이 빠진 듯 했다.
실제 단식을 시작할 때 67.5kg에 달했던 몸무게는 현재 59.2kg으로 8.3kg이나 줄었다.
며칠 전 김성훈 전 농림부 장관이 방문했을 때는 앰뷸런스가 두 번이나 달려왔다.
그런데도 그는 단식을 중단할 수 없다고 했다.
천 의원은 단식을 멈추지 않는 연유에 대해 "아직은 버틸 수 있는 힘이 남아 있고,제 마음이 허락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하루 3000∼3500㏄의 물로 버티고 있다.
또 티 스푼에 소금을 절반가량 담아 두 차례 정도 먹는다.
세면과 잠은 국회 내 의원회관에서 해결한다.
단식 천막에서는 신문과 책을 읽거나 방문하는 사람들과 짤막하게 얘기를 나눈다.
주로 동료 의원들과 시민단체 인사들이 찾아오고 있다.
이날은 도올 김용옥 세명대 석좌교수가 방문해 눈길을 끌었다.
김 교수는 천 의원의 양손 맥을 짚어본 뒤 "맥이 시원찮게 뛴다.
몸이라는 게 어느 순간을 넘어서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생긴다"며 단식을 풀 것을 권유했다.
이에 천 의원은 "건강을 결정적으로 해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면서도 "(단식을) 처음 해보는 일인데 예상보다 아직 힘이 들진 않는다"며 단식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정치인의 단식은 대부분 정치적으로 큰 고비를 맞은 상황에서 돌파구를 찾기 위한 극단적인 방법의 하나로 이뤄져왔다.
1983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23일간의 단식이나 2005년 28일 동안의 단식으로 정치인 중 최장 기록을 세운 민주노동당 강기갑 의원 등의 단식이 모두 같은 맥락이다.
천 의원의 단식 역시 FTA를 둘러싼 논란이 갈수록 확산되는 상황에서 지지부진한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반전의 모멘텀으로 삼기 위한 것이라는 시각이 없지 않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에 반대하며 지난달 26일 국회의사당 앞마당에 천막을 치고 행동에 나선 지 13일로 19일째다.
이날 단식 천막에서 만난 그의 모습은 무척 수척해져 있었다.
희끗한 수염이 덥수룩했고,목소리는 바로 옆에 있지 않으면 알아듣기 힘들 정도로 가늘어져 있었다.
힘이 많이 빠진 듯 했다.
실제 단식을 시작할 때 67.5kg에 달했던 몸무게는 현재 59.2kg으로 8.3kg이나 줄었다.
며칠 전 김성훈 전 농림부 장관이 방문했을 때는 앰뷸런스가 두 번이나 달려왔다.
그런데도 그는 단식을 중단할 수 없다고 했다.
천 의원은 단식을 멈추지 않는 연유에 대해 "아직은 버틸 수 있는 힘이 남아 있고,제 마음이 허락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하루 3000∼3500㏄의 물로 버티고 있다.
또 티 스푼에 소금을 절반가량 담아 두 차례 정도 먹는다.
세면과 잠은 국회 내 의원회관에서 해결한다.
단식 천막에서는 신문과 책을 읽거나 방문하는 사람들과 짤막하게 얘기를 나눈다.
주로 동료 의원들과 시민단체 인사들이 찾아오고 있다.
이날은 도올 김용옥 세명대 석좌교수가 방문해 눈길을 끌었다.
김 교수는 천 의원의 양손 맥을 짚어본 뒤 "맥이 시원찮게 뛴다.
몸이라는 게 어느 순간을 넘어서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생긴다"며 단식을 풀 것을 권유했다.
이에 천 의원은 "건강을 결정적으로 해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면서도 "(단식을) 처음 해보는 일인데 예상보다 아직 힘이 들진 않는다"며 단식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정치인의 단식은 대부분 정치적으로 큰 고비를 맞은 상황에서 돌파구를 찾기 위한 극단적인 방법의 하나로 이뤄져왔다.
1983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23일간의 단식이나 2005년 28일 동안의 단식으로 정치인 중 최장 기록을 세운 민주노동당 강기갑 의원 등의 단식이 모두 같은 맥락이다.
천 의원의 단식 역시 FTA를 둘러싼 논란이 갈수록 확산되는 상황에서 지지부진한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반전의 모멘텀으로 삼기 위한 것이라는 시각이 없지 않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