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사업자를 포함한 중소기업 대출은 가계대출보다 더 큰 '폭탄'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담보인정비율이 60~90%로 가계의 아파트담보 대출시 적용하는 담보인정비율(40~50%)에 비해 훨씬 높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이 조금만 떨어져도 담보 부실로 이어져 금융권 부실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공단지역에 위치한 한 은행의 지점장은 "경기 침체로 시설투자와 관련한 자금 수요는 적은 반면 공장용지 매입 등 부동산과 관련된 자금 수요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심지어 경영난에 빠진 기업 중 일부는 가격이 오른 공장용지 등을 담보로 돈을 더 빌려 부도를 면하고 있다"고 들려줬다.

금융당국과 연구기관의 '경고'도 잇따르고 있다.

권오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지난해 말 "급속한 중소기업 대출 증가는 향후 경기 둔화 등 경제 여건 변화시 부실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중소기업 대출 확대는 기업의 자금 사정을 개선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대출 증가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고 정확한 신용평가보다는 금융기관 간 유치 경쟁에 따라 '묻지마 대출'이 이뤄지는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다.

최근 한국은행 금융협의회에 참석한 시중은행장들도 "가계대출 리스크 관리에 이어 부동산 업종 대출 신장세가 큰 중소기업 대출도 유의해서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역시 "최근 급속한 중소기업 대출 증가는 지난 1~2년간의 증가세 둔화를 회복하는 측면이 있으나 요즘 같은 증가세가 지속되는 경우 잠재 부실기업에 대한 과대한 신용 공급을 동반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