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국내 증시를 키우기 위해 중국 기업의 홍콩증시 상장을 제한할 계획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가 16일 보도했다.

정부 측은 이러한 정책을 공식 발표하진 않았으나 10억달러 이상의 기업공개(IPO)나 홍콩과 함께 상하이 또는 선전 증시에 동시 상장할 경우에만 홍콩증시 상장을 허용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의 이번 방침은 국내 증시를 부양하고 과도한 무역 흑자로 인한 유동성을 흡수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또 홍콩증시로 자금이 몰릴 경우 중국 경제 성장에 따른 과실을 중국인들이 따먹을 수 없다는 판단도 홍콩 상장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홍콩증시 상장에 대한 중국 증권감독위원회의 태도가 최근 강경해지고 있다.

니켈과 동을 캐는 서부(西部)광업은 홍콩증시 상장을 신청했으나 A(외국인 매입 불가능) 주식으로 상장하라는 증권 당국의 권유를 받았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10억달러 이상이나 국내와 홍콩 동시 상장의 경우 홍콩증시 상장을 허용하기로 했다.

올해 10억달러 이상의 자금을 모집하는 중신(中信)은행과 중국 태평양보험이 이에 해당한다.

다국적 회계·컨설팅 회사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는 올해 IPO 규모가 상하이와 선전이 각각 370억달러에 달해 홍콩(200억달러)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했다.

홍콩 증시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홍콩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으나 국제 금융 중심지로서의 홍콩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