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1500억대 '주가 작전' 계좌 동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검찰이 1500억원대 주가 조작을 하고 있는 소위 '작전 세력'에 대한 수사에 착수, 관련 계좌 동결 조치를 내렸다.
시세 조종 행위가 진행 중인 사안에 대해 검찰이 직접 나서 자금동결 조치를 내리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금융조세조사 1부(부장검사 강찬우)는 코스닥 상장사인 자동차 부품업체 L사의 주식을 목표로 728개 증권 계좌(동원 자금 1500억원)를 동원한 시세 조종 행위가 이뤄지고 있다는 단서를 포착하고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최근 주요 계좌 9개를 추징 보전하는 조치를 내렸다고 16일 밝혔다.
검찰은 추징보전 명령(추징금 징수를 위해 재산 처분을 금지하는 조치)을 법원으로부터 발부받아 지난 13일 22시께 각 증권사 해당 계좌의 가압류 집행을 완료했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시세 조종에 사용되고 있는 계좌가 대부분 차명 계좌로 판단되고 가담자들의 인적 사항을 파악하기 어려운 데다 혐의자들이 이날 현재까지도 계속 주문을 내고 있어 추가적인 범죄수익 발생을 신속히 차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금융감독원은 L사 외에도 K사와 B사 등 2개 종목도 같은 방식으로 주가가 조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일부 증권사가 시세조종 세력에게 편의를 제공한 혐의를 잡고 조사를 벌이고 있다. L사의 주가는 이날 현재 5만원대 초반으로 시세 조종 전 1200원대였다가 약 40배 이상 치솟은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혜정/장진모 기자 selenmoon@hankyung.com
시세 조종 행위가 진행 중인 사안에 대해 검찰이 직접 나서 자금동결 조치를 내리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금융조세조사 1부(부장검사 강찬우)는 코스닥 상장사인 자동차 부품업체 L사의 주식을 목표로 728개 증권 계좌(동원 자금 1500억원)를 동원한 시세 조종 행위가 이뤄지고 있다는 단서를 포착하고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최근 주요 계좌 9개를 추징 보전하는 조치를 내렸다고 16일 밝혔다.
검찰은 추징보전 명령(추징금 징수를 위해 재산 처분을 금지하는 조치)을 법원으로부터 발부받아 지난 13일 22시께 각 증권사 해당 계좌의 가압류 집행을 완료했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시세 조종에 사용되고 있는 계좌가 대부분 차명 계좌로 판단되고 가담자들의 인적 사항을 파악하기 어려운 데다 혐의자들이 이날 현재까지도 계속 주문을 내고 있어 추가적인 범죄수익 발생을 신속히 차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금융감독원은 L사 외에도 K사와 B사 등 2개 종목도 같은 방식으로 주가가 조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일부 증권사가 시세조종 세력에게 편의를 제공한 혐의를 잡고 조사를 벌이고 있다. L사의 주가는 이날 현재 5만원대 초반으로 시세 조종 전 1200원대였다가 약 40배 이상 치솟은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혜정/장진모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