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회계서비스 생산성 美 절반에도 못미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타결로 개방 확대가 예상되는 법률·회계서비스 등 국내 사업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이 미국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업체와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인수·합병(M&A) 등을 통한 대형화·전문화 등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한국은행이 펴낸 '사업서비스업 현황 및 발전방향'에 따르면 미국의 노동생산성을 100으로 봤을 때 2005년 기준 우리나라 사업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은 42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서비스업은 법률·회계서비스를 비롯 정보처리 및 컴퓨터운영 관련업,연구·개발(R&D)업,건축기술 및 엔지니어링,광고,디자인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제조업 등 다른 산업의 생산성 향상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실제로 우리나라 사업서비스업 생산액(부가가치)은 2005년 중 약 40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5.5%를 차지했으며 이는 미국(12.5%) 일본(7.7%)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11.0%,2003년 기준)의 절반 수준이다.
사업서비스업의 1인당 부가가치는 2860만원으로 금융(8170만원) 통신(1억7650만원) 등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
미국 업체와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으려면 인수·합병(M&A) 등을 통한 대형화·전문화 등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한국은행이 펴낸 '사업서비스업 현황 및 발전방향'에 따르면 미국의 노동생산성을 100으로 봤을 때 2005년 기준 우리나라 사업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은 42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서비스업은 법률·회계서비스를 비롯 정보처리 및 컴퓨터운영 관련업,연구·개발(R&D)업,건축기술 및 엔지니어링,광고,디자인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제조업 등 다른 산업의 생산성 향상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실제로 우리나라 사업서비스업 생산액(부가가치)은 2005년 중 약 40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5.5%를 차지했으며 이는 미국(12.5%) 일본(7.7%)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11.0%,2003년 기준)의 절반 수준이다.
사업서비스업의 1인당 부가가치는 2860만원으로 금융(8170만원) 통신(1억7650만원) 등에 비해 매우 낮은 편이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