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단카이(團塊·일본의 전후 베이비붐) 세대의 정년 퇴직으로 인력 부족과 기술공백을 걱정하고 있는 일본 기업들이 근로자들의 정년 퇴직을 65세로 속속 연장하고 퇴직자를 재고용하는 등 '고령자 모시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18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작년 4월 일본의 '고령자 고용안정법' 개정으로 일본 기업들은 현재 60세인 정년퇴직 연령을 2013년까지 65세로 올리도록 돼 있지만 주요 기업들은 자발적으로 정년을 앞당겨 연장하고 있다.

일본의 공작기계 전문기업인 화낙은 60세인 정년을 최근 65세로 5년 연장했다.

다만 60세가 넘는 근로자에 대해선 근무 시간 등 근무 형태를 종전과 똑같이 하되 급여는 59세 시점의 액수를 지급키로 했다.

이 회사는 3년 후면 전체 사원의 약 10%인 160명이 60세를 넘게 된다.

화낙 관계자는 "오랜 현장 경험으로 숙련된 기술 노하우를 갖고 있는 건강한 근로자를 60세가 됐다는 이유만으로 퇴직시키는 건 안타까운 일"이라며 "그들의 기술과 노하우를 좀 더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바코드 기기 대기업인 사토도 최근 65세 정년제도를 도입했다.

60세 이후의 급여는 실적과 연계하되 최고액이 59세 시점의 급여 수준이 되도록 했다.

종전엔 과·부장급 간부의 정년인 56세를 정점으로 급여가 줄어드는 '임금피크제'를 실시하던 것을 성과급제로 바꾼 것이다.

정년은 60세로 놔두되 근로 조건 등을 유연하게 해 고령자를 활용하는 회사도 늘고 있다.

도요타자동차는 일부 생산 현장에서 60세 이상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고용하되 1주일에 이틀 내지 3일만 근무하는 제도를 지난달 시범 도입했다.

도쿄전력도 이달부터 퇴직자를 재고용할 때 근무 일수나 근무 시간 등을 본인들이 사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항공회사인 전일공(ANA)도 정년 퇴직한 고령자를 재고용할 때 근무 시간은 본인들이 선택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했다.

2차대전 패전 직후인 1947~49년 베이비붐 시기에 태어난 단카이 세대는 일본 총 인구의 5%가 넘는 670여만명에 달한다.

이들이 60세 정년을 맞는 올해부터 앞으로 3년간 약 280여만명이 직장에서 퇴직할 예정이어서 일본 기업들은 인력 수급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도쿄=차병석 특파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