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 시행,국내 폐기물부담금 관련 자발적 협약 체결 등 국내외 환경 이슈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민·관 합동 지원기구가 이르면 올 하반기 중 중소기업중앙회에 설치될 전망이다.

중기중앙회는 18일 서울 63빌딩에서 열린 '이치범 환경부 장관 초청 조찬 간담회'에서 환경부에 중소기업 환경경영 지원업무를 전담하는 '중소기업 환경경영 지원단'(가칭)을 중앙회 내에 함께 설치할 것을 건의했다.

이에 환경부는 "REACH 등에 대해 같은 업종 중소기업의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며 "중앙회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중앙회는 이에 따라 올 하반기 중 '중소기업 환경경영 지원단'을 발족하고 내년부터 정부 예산을 지원받아 업무를 수행하는 방안을 본격 추진한다.

지원단은 환경부 파견 공무원과 중앙회 관련 직원들로 구성해 국내외 환경 분야 지원 업무를 맡게 된다.

우선 내년 6월부터 사전 등록이 이뤄지는 REACH에 대응해 국내 동종 중소업체들이 공동 물질 등록 및 공동 시험자료 확보 등을 통해 부담을 경감할 수 있도록 업종별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중소기업들의 해외 환경 규제 대응과 관련된 실태 조사 및 건의,정보 제공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국내 환경 관련 주요 업무로는 지난 2월 법령 개정으로 인상된 폐기물 부담금과 관련해 플라스틱 최종제품 생산 업체들이 환경부 장관과 재활용에 대한 자발적 협약을 맺어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유길상 중앙회 산업기술혁신팀장은 "중소기업은 취약한 인적 구성 및 자금,정보 부족으로 해외 환경규제 등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력이 낮은 실정"이라며 "민관 합동 조직을 운영하면 지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송태형 기자 toughl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