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카 2009년부터 보조금 ... 취득ㆍ등록세 특소세 감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09년께부터 하이브리드 카 등 친환경 자동차를 구입하면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게 될 전망이다.
또 친환경차엔 특별소비세 취득·등록세 등 세금이 감면되고 공채 매입 의무도 완화되거나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휘발유와 경유를 쓰는 하이브리드 카 외에 액화천연가스(LPG) 하이브리드 카의 판매도 허용할 방침이다.
▶한경 3월14일자 A1,4면 참조
친환경자동차 태스크포스(TF)는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미래형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 포럼'에서 하이브리드 카와 연료전지차 등 친환경차 보급을 늘리기 위해선 구매 단계에서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고 세제 혜택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공식 건의했다.
TF는 민간 전문가와 산자부 건교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 공무원들이 참여해 지난해 말 구성됐다.
TF는 친환경차 활성화의 관건이 판매에 달려 있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선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메리트를 줘야 한다는 것이 TF의 설명이다.
현재 휘발유 차량은 배기량 1500cc 기준으로 1500만원 이하(세금포함)인데 하이브리드 카는 7500만원에 이르러 소비자들이 살 엄두를 낼 수 없는 형편이다.
때문에 자동차 회사들이 단가 인하 노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정부가 일반 승용차 가격과의 차액 중 일부를 보조해 줘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특소세 취득세 등록세 공채 등을 폐지하거나 대폭 완화해야 소비 진작효과를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
또 친환경차엔 특별소비세 취득·등록세 등 세금이 감면되고 공채 매입 의무도 완화되거나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휘발유와 경유를 쓰는 하이브리드 카 외에 액화천연가스(LPG) 하이브리드 카의 판매도 허용할 방침이다.
▶한경 3월14일자 A1,4면 참조
친환경자동차 태스크포스(TF)는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미래형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 포럼'에서 하이브리드 카와 연료전지차 등 친환경차 보급을 늘리기 위해선 구매 단계에서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고 세제 혜택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공식 건의했다.
TF는 민간 전문가와 산자부 건교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 공무원들이 참여해 지난해 말 구성됐다.
TF는 친환경차 활성화의 관건이 판매에 달려 있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선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메리트를 줘야 한다는 것이 TF의 설명이다.
현재 휘발유 차량은 배기량 1500cc 기준으로 1500만원 이하(세금포함)인데 하이브리드 카는 7500만원에 이르러 소비자들이 살 엄두를 낼 수 없는 형편이다.
때문에 자동차 회사들이 단가 인하 노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정부가 일반 승용차 가격과의 차액 중 일부를 보조해 줘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특소세 취득세 등록세 공채 등을 폐지하거나 대폭 완화해야 소비 진작효과를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