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7일자) 금융사 해외진출 확대의 전제조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금융회사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을 내놓았다.
1조원 규모의 해외투자전문 사모투자전문회사(PEF)를 설립하는 한편 보험사에도 PEF 자회사를 허용하고 금융지주회사 자회사에 외국금융사도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 등이 주요 내용이다.
금융사들의 글로벌화를 촉진(促進)하는 한편 넘쳐나는 달러를 해외로 내보내 환율하락도 막아보자는 취지다.
금융회사들의 글로벌화는 사실 대단히 시급하다.
우리 금융 업체들은 우물안 개구리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국내시장에만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 까닭이다.
세계 10위권을 넘보는 경제대국이면서도 금융업체 위상이 이런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은 한심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선진국 업체들에 비해 금융 노하우가 뒤지는 데다 각종 규제에 막혀 해외 진출 자체가 쉽지 않은 점 등이 중요한 원인이다.
정부가 이번에 규제를 대폭 완화(緩和)키로 한 것도 그런 이유 때문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특히 PEF가 해외에 투자목적회사(SPC)를 설립한 뒤 이를 통해 투자에 나설 경우 투자 대상이나 자산운용 등에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해, 사실상 헤지펀드 설립까지 허용키로 한 대목에서는 정부의 의지가 강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읽을 수 있다.
하지만 금융업체들의 해외시장 진출이 낙관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현지 업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 정도의 노하우를 갖춘 금융회사는 전무(全無)하다 해도 과언이 아닌 까닭이다.
실제 해외지점을 개설한 경우라 하더라도 은행은 현지에 진출한 국내기업이나 주재원을 상대로 소매금융을 벌이는 정도가 대부분이고 증권·보험사들 역시 탄탄한 영업기반을 갖춘 사례는 찾기 힘든 게 사실이다.
10여년 전 우후죽순처럼 해외지점을 설치했다가 외환위기를 계기로 부실만 떠안고 폐쇄한 사례는 취약한 경쟁력의 실상을 상징적으로 드러내준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금융 글로벌화를 위해서는 업계 스스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문호가 확대됐다 해서 성급하게 해외진출부터 서두를 게 아니라 우선 글로벌 시각과 금융 노하우를 익힌 전문인재를 육성하고 선진 금융기법과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갖추는 게 더 급선무라는 이야기다. 정부 역시 불요불급한 규제를 더욱 과감히 철폐하는 등 금융업체들의 노력을 적극 뒷받침해 나가야 할 것이다.
1조원 규모의 해외투자전문 사모투자전문회사(PEF)를 설립하는 한편 보험사에도 PEF 자회사를 허용하고 금융지주회사 자회사에 외국금융사도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 등이 주요 내용이다.
금융사들의 글로벌화를 촉진(促進)하는 한편 넘쳐나는 달러를 해외로 내보내 환율하락도 막아보자는 취지다.
금융회사들의 글로벌화는 사실 대단히 시급하다.
우리 금융 업체들은 우물안 개구리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국내시장에만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 까닭이다.
세계 10위권을 넘보는 경제대국이면서도 금융업체 위상이 이런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은 한심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선진국 업체들에 비해 금융 노하우가 뒤지는 데다 각종 규제에 막혀 해외 진출 자체가 쉽지 않은 점 등이 중요한 원인이다.
정부가 이번에 규제를 대폭 완화(緩和)키로 한 것도 그런 이유 때문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특히 PEF가 해외에 투자목적회사(SPC)를 설립한 뒤 이를 통해 투자에 나설 경우 투자 대상이나 자산운용 등에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해, 사실상 헤지펀드 설립까지 허용키로 한 대목에서는 정부의 의지가 강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읽을 수 있다.
하지만 금융업체들의 해외시장 진출이 낙관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현지 업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 정도의 노하우를 갖춘 금융회사는 전무(全無)하다 해도 과언이 아닌 까닭이다.
실제 해외지점을 개설한 경우라 하더라도 은행은 현지에 진출한 국내기업이나 주재원을 상대로 소매금융을 벌이는 정도가 대부분이고 증권·보험사들 역시 탄탄한 영업기반을 갖춘 사례는 찾기 힘든 게 사실이다.
10여년 전 우후죽순처럼 해외지점을 설치했다가 외환위기를 계기로 부실만 떠안고 폐쇄한 사례는 취약한 경쟁력의 실상을 상징적으로 드러내준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금융 글로벌화를 위해서는 업계 스스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문호가 확대됐다 해서 성급하게 해외진출부터 서두를 게 아니라 우선 글로벌 시각과 금융 노하우를 익힌 전문인재를 육성하고 선진 금융기법과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갖추는 게 더 급선무라는 이야기다. 정부 역시 불요불급한 규제를 더욱 과감히 철폐하는 등 금융업체들의 노력을 적극 뒷받침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