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천 서울대 교수(수의산과학)의 '늑대 복제' 논문 오류는 조작이 아닌 단순 실수인 것으로 밝혀졌다.

늑대 복제 논문 부정 의혹을 조사 중인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는 이 교수 연구실에서 압수한 컴퓨터 파일 및 연구 노트,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찬규 교수의 원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논문에 나타난 오류가 작성 중 발생한 실수인 것으로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위원회는 복제 늑대 및 난자 제공견ㆍ대리모견의 혈청 샘플과 서울대공원에서 채취한 시료를 바탕으로 디옥시리보핵산(DNA)과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스널프·스널피가 복제 늑대가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