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강재섭 대표가 30일 재·보선 참패 수습을 위한 당 쇄신안을 내놨다.

그러나 이명박 전 서울시장 측과 일부 중진의원들을 중심으로 반발기류가 확산되면서 내분 양상이 심화되고 있다.

강 대표는 이날 염창동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사퇴 불가 입장을 재확인한 뒤 당 자정기능 강화 등을 골자로 한 쇄신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박근혜 전 대표 측은 '수용'입장을 밝혔지만,이 전 시장 측은 "미흡하다,이대론 안 된다"고 반발했다.

홍준표 전여옥 의원뿐만 아니라 전재희 정책위 의장도 의장직을 사퇴하며 지도부 퇴진을 촉구했다.

◆"물러나면 당 깨질 수도"=강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사퇴 불가 배경에 대해 "물러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물러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 이유로 "제가 물러나면 당장 새 지도부 구성을 놓고 갈등과 혼란이 증폭될 것이고 자칫 당이 깨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두 대선주자가 당권 장악을 위해 심각한 충돌 양상을 빚을 것이란 점을 염두에 둔 것이다.

그는 "대선 경선이 끝나면 후보와 협의,진퇴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강 대표가 내놓은 쇄신안에는 국회의원뿐만 아니라 모든 당협위원장들도 재산과 병역,납세 등을 공개토록 했다.

뇌물과 불법정치자금 수수 등 부정부패 관련자는 기소 즉시 당원권을 정지하고 형이 확정되면 출당토록했다.

'네거티브 감시위원회'를 신설해 대선 후보 캠프 간 비방과 음해에 강력 대응키로 했다.

문호를 개방해 국민적 대표성을 지닌 지도자급 인사를 최고위원으로 영입키로 했다.

◆朴,李 상반된 반응=박 전 대표는 쇄신안 발표 직후 한선교 캠프 대변인을 통해 "강 대표가 책임있는 결정을 했다고 생각한다.

한나라당이 더 많은 국민의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큰 지도력을 발휘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박 전 대표 측 최경환 의원도 "지금 단계에서 달리 뾰족한 수가 없다.

강 대표가 그만둘 경우 당이 빠질 혼란을 생각한다면 적절한 대승적 결단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반면 이 전 시장 측은 공식적으로는 '좀 지켜보자'며 논평을 유보했지만 캠프 내부 회의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강하게 터져 나왔다는 후문이다.

쇄신안 내용을 보고 거취를 결정하겠다고 했던 이 전 시장 측의 이재오 최고위원은 사퇴를 검토하고 있지만,주변에서 만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최고위원은 이르면 1일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그가 최고위원직을 내놓을 경우,한나라당 지도부는 사실상 와해되며 내홍은 걷잡을 수 없는 상황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크다.

이 전 시장 측이 문제삼고 있는 부분은 크게 세 가지.우선 대선후보 '경선 룰'에 대한 언급이 빠져있다는 것이 불만이다.

재·보선 참패 이후 여론을 보다 많이 반영할 수 있는 경선방식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당 내에서 제기됐음에도 이런 점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네거티브 경선전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이 빠졌고,현 체제에 대한 최소한의 재신임 절차를 밟지 않은 것도 문제라고 비판하고 있다.

이 전 시장의 한 측근은 "강 대표가 사태의 심각성을 모르는 것 같다.

이런 내용으로 당의 반발을 잠재울 수 있다고 보는가"라며 "쇄신 방안을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영식/김인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