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금리 주식 등의 가격은 변화무쌍하고 예측하기 어렵지만 파생상품을 활용하면 적절히 가격변동 위험에 대처(헤지)할 수 있다.

파생금융상품의 출발 자체가 국제통화기금(IMF) 체제가 변동환율제로 바뀌면서 환차손을 피하기 위해 1972년 미국에서 처음 도입한 것이다.

지금까지 나온 파생상품은 1200여종으로 알려졌다.

파생상품을 활용하면 작은 규모의 증거금만으로 보유 중인 기초자산의 가격변동 위험을 헤지할 수 있다.

하지만 바로 이 점 때문에 단기 수익을 노린 대규모 투기성 거래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지난해 국내 금융회사들의 파생상품 거래 규모(만기일에 거래하기로 약정한 금액)는 한 해 전보다 15.3% 증가한 4경4291조원이라는 천문학적인 금액을 기록했다.

주가지수옵션 거래가 증가하고 은행의 구조화채권 발행이 늘면서 금리변동 위험을 피하기 위한 이자율 스와프 거래가 급증한 덕분이다.

한국은 코스피200 옵션 상품이 크게 발달해 파생상품 시장의 강자로 불린다.

증권선물거래소의 지난해 파생상품 거래 규모는 22억3500만 계약으로 유렉스(15억2700만 계약),시카고상업거래소(CME·14억300만 계약) 등을 제치고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이는 거래소 내에서 거래가 이뤄진 규격화한 상품만을 대상으로 한 장내 파생상품 순위이며 장외 파생상품 시장은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수준이다.

금리스와프 등 국내 장외 파생상품 시장은 미국(126조6196억달러)의 2.2%에 불과하다.

백광엽 기자 kecorep@hankyung.com


[ 용어풀이 ]

파생금융상품= 주식이나 채권,금리,외환 등 기초적인 금융자산의 가격 변동 구조를 조합하거나 응용해 만든 모든 상품을 뜻한다.

주가지수 선물과 옵션은 물론이고 금리선물,환율 스와프 등 파생금융상품 종류는 무궁무진하다.

파생결합상품=파생금융상품의 일종으로 주식 채권 예금 등 일반적 금융상품에 파생계약을 결합한 형태다.

주가연계증권(ELS) 등이 대표적이며 주로 장외에서 거래가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