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재테크 시장에서는 외환당국의 단기외화차입 규제에 따른 불똥이 채권시장으로 튀면서 시장금리가 상승하는 것이 최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미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인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는 5%대에 진입했다.

이 때문에 종부세,보유세 등에 따른 부담이 현실화되면서 떨어지고 있는 아파트 가격의 하락세를 더욱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앞으로 시장금리의 움직임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전통적인 금리변동 요인인 경기와 인플레,채권수급 등으로 볼 때 최근처럼 시장금리를 급상승시킬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하지만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있는 것은 작년 이후 급증하고 있는 금융회사들의 단기외화 차입을 외환당국이 뒤늦게 규제에 나섰기 때문이다.

그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외환당국이 단기차입에 따른 환율하락(원화 강세)을 맞기 위해 달러화를 매입한다.

이때 풀린 시중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국채를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국채값과 반비례 관계에 있는 시장금리는 최근처럼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당분간 시장금리의 상승세는 그 폭이 크지 않더라도 지속될 것으로 보는 것이 채권시장 참여자들의 지배적인 시각이다.

단기외화 차입에 따른 정책요인에다 올 하반기 이후 경기회복을 겨냥한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또 국채시장에서도 경기부양 등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채발행 계획도 시장금리를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시장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시중자금이 다시 시중은행이 판매하는 특판예금을 중심으로 몰리고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시장금리가 상승하기 시작한 때와 맞춰 특판예금을 팔거나 종료한 신한,하나,기업,외환,산업은행과 농협 등에 몰린 자금이 6조124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통합은행 출범 1주년을 기념해 특판을 시작한 신한은행은 불과 한 달 만에 2조5000억원의 한도를 모두 판매했다.

문제는 시장금리 상승에 따라 예금자의 이자 수익보다 대출자의 이자 부담이 더 커진다는 점이다.

시장금리가 1%포인트 올라갈 경우 예금이자는 이자소득세를 빼면 0.8%포인트 상승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대출자의 경우에는 1%포인트 고스란히 이자 부담으로 전가되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현 시점에서 대출금 상환 문제를 한번쯤은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만약 여유자금으로 금융회사의 대출을 상환할 경우 △금리가 높은 대출 △만기가 다가온 대출 △규모가 작은 대출 순으로 갚아야 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 순서대로라면 신용대출과 담보대출이 있다면 금리가 높은 신용대출부터 갚아야 한다.

또 만기일이 가까운 대출일수록 먼저 상환하는 것이 연체에 따른 불이익을 피할 수 있다.

최근처럼 시장금리가 상승할 때 가장 많이 문의해 오는 내용 중의 하나가'대출이 있다면 예·적금을 깨서라도 갚아야 하느냐"하는 점이다.

이때는 만기가 얼마 안 남은 예·적금이 있을 경우 이를 담보로 대출을 받아 금리가 높은 대출을 상환하는 것이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다.

통상 예금담보대출 금리는 예금금리에 1.5%포인트를 더해 연동되기 때문에 신용대출보다 낮기 때문이다.

특히 일반 담보대출과 달리 중도상환수수료도 없어 부담이 더욱 줄어드는 이점도 있다.

앞으로 예상보다 시장금리가 의외로 많이 오를 때에는 자금수요가 많은 기업들은 국제적으로 스위스 프랑화 자금이나 엔화 자금을 활용하는 문제를 고려해 보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한상춘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