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병역특례업체 금품수수 확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병역특례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는 4일 계좌추적 영장을 발부받은 5개 업체 중 일부에서 금품 수수 비리 단서를 상당 부분 확인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2∼3개 업체가 병역특례자 정원(이른바 'TO')을 거래한 사실을 확인,수천만원대의 대가가 오갔을 것으로 보고 관련 계좌를 추적하고 있다.
또 제보가 속속 들어옴에 따라 이 중 일부 업체 대표를 소환,경위를 캐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회사에 들어가서 지정 분야와 다른 일을 하고 있거나 능력이 안 되는 사람이 입사한 경우에는 비리에 연루됐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혐의 사실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날 게임개발업체 N사에서 산업기능요원으로 근무 중인 힙합가수 J씨 등 10개 업체 관계자 수십여명을 추가로 불러 조사했으며 지금까지 조사를 받은 업체는 압수수색을 실시한 61곳 가운데 23개에 이르고,이 중 50∼60%인 15∼16개 업체에서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이날 다른 업체에 대해 계좌추적 영장을 청구해 추적 범위를 확대하는 등 금품수수 의혹 규명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업체 대표와 특례자는 물론 정황이 포착되면 부모 등으로 범위를 넓혀 연결 계좌추적 작업에도 바로 들어간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검찰은 2∼3개 업체가 병역특례자 정원(이른바 'TO')을 거래한 사실을 확인,수천만원대의 대가가 오갔을 것으로 보고 관련 계좌를 추적하고 있다.
또 제보가 속속 들어옴에 따라 이 중 일부 업체 대표를 소환,경위를 캐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회사에 들어가서 지정 분야와 다른 일을 하고 있거나 능력이 안 되는 사람이 입사한 경우에는 비리에 연루됐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혐의 사실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날 게임개발업체 N사에서 산업기능요원으로 근무 중인 힙합가수 J씨 등 10개 업체 관계자 수십여명을 추가로 불러 조사했으며 지금까지 조사를 받은 업체는 압수수색을 실시한 61곳 가운데 23개에 이르고,이 중 50∼60%인 15∼16개 업체에서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이날 다른 업체에 대해 계좌추적 영장을 청구해 추적 범위를 확대하는 등 금품수수 의혹 규명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업체 대표와 특례자는 물론 정황이 포착되면 부모 등으로 범위를 넓혀 연결 계좌추적 작업에도 바로 들어간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