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가 전교조 등의 반발로 배포를 중단시킨 '차세대 경제교과서 모형'에 정부의 시장개입을 비롯 기업의 사회적 책임,분배의 중요성 등을 내용으로 하는 10가지 읽기자료를 부록 형태로 첨부키로 했다고 한다.

게다가 교과서 참고모형인데도 교과서로 오해할 수 있어 '차세대 경제교과서 모형 연구'라는 문구를 책 표지에 넣을 계획이라고 한다.

교육 당국이 3개월째 일선학교에 배포를 연기하며 마련한 경제교과서 모형이 학생들이 읽어야 할 모범적인 내용이 되기는커녕 오히려 논란만 가중시키는 사태를 초래(招來)하지 않을까 큰 걱정이 아닐 수 없다.

특히 교과서 내용의 형평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라는 교육 당국의 설명과는 달리 읽기자료의 내용들이 하나같이 노동계쪽 시각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우리 경제교과서의 내용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은 새삼스러운 얘기는 아니다.

특히 근래 들어 이윤창출이라는 기업의 목적은 소홀히 다루면서 시장 실패는 부각시킴으로써 반기업·반시장 정서가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래 경제주체들이 배우는 교과서가 시장경제와 자본주의의 본질을 왜곡하고 있다는 얘기에 다름 아니다.

기존 교과서가 담고 있는 반기업,반시장적 편향성을 시정해 달라는 경제단체들의 요구를 교육부가 받아들여 교과서 모델 발간에 나선 것도 바로 그러한 연유에서다.

사정이 이런데도 교육당국이 교과서 모형 집필진이 직접 만들지도 않은 자료를,그것도 본문의 시장경제 원칙과 크게 어긋나는 내용을 담은 자료들을 굳이 부록으로 싣겠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 특히 이번 교과서 수정은 그 과정으로 보아 정치권과 전교조 등의 압력에 정책당국이 굴복하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어 한심하다는 생각이 든다.

만약 교과서에 반드시 추가해야 할 내용이 있다면 별책으로 만들어 누가 어떠한 이유로 선정했는지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게 바람직하다.

차세대를 위한 교과서는 시장경제의 본질(本質)을 제대로 반영해야 한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문제가 있는 부분은 하루빨리 시정하는 게 순리다.

학생들에게 올바른 경제교육은커녕 혼란만 부추길 죽도 밥도 아닌 경제교과서를 만들겠다는 교육부의 처사를 도무지 이해할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