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0일자) 은행노조 제정신으로 하는 얘긴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이 오는 28일부터 시작되는 사측과의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에서 창구 영업마감 시간을 현재의 오후 4시30분에서 3시30분으로 1시간 앞당기는 것을 요구하기로 확정했다는 소식이다.
이유인즉 창구영업이 끝나는 것은 4시30분이지만 업무마감과 회의 등으로 모든 일이 끝나는 것은 저녁 10시를 넘기기 일쑤이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정말 어처구니 없는 발상이다.
무엇보다 은행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불편은 전혀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들의 편의와 퇴근시간만을 챙기겠다는 것은 극단적 이기주의에 불과하다.
아무리 조합원들을 보호할 의무가 있는 노조라 하더라도 상식을 가진 사람들이었다면 그런 주장을 생각해내지도 못했을 것이다.
물론 창구마감 이후에도 여러가지 챙겨야 할 일들이 많기 때문에 밤 늦게 퇴근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도 적지 않을 것이다.
현실이 그렇다 하더라도 이는 은행 내부의 업무개선 등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다.
그것을 어찌 영업시간을 단축해서 해결하겠다고,배부른 주장을 내놓은 것인지 도무지 이해할 방법이 없다.
속된 표현으로 고객을 '봉'으로 여기는 작태가 아닐 수 없다.
창구 서비스에 높은 수수료를 부과해 수익을 올리고 있으면서도 일이 힘드니까 고객들이 은행원 편의에 맞춰 업무를 빨리 끝내달라고 주장하는 것이 과연 정상적인 사람들의 생각인가.
게다가 은행원들은 어느 업종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은 최고수준의 급여와 대우를 받고 있지 않은가.
지금은 무한경쟁시대다.
어느 분야이건 생존을 위해 피나는 경쟁을 벌이고 있다.
유통업체들은 고객 만족을 위해 24시간 영업을 마다하지 않고,병·의원들마저 토·일요일 진료 등 서비스 경쟁에 나서고 있는 것이 산업현장의 모습이다.
은행노조가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변명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얼마 전 이 문제가 불거진 이후 금융노조 홈페이지가 네티즌들의 비난으로 도배되고 있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창구영업시간 단축을 요구의제로 공식 확정했다고 하니 어안이 벙벙할 뿐이다.
그러니 귀족노조라는 비난이 쏟아지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귀결이 아닌가.
지금이라도 이를 철회하고 오히려 종합금융서비스 시대에 걸맞은 고객서비스 향상 대책을 내놓는 것이 올바른 순서다.
이유인즉 창구영업이 끝나는 것은 4시30분이지만 업무마감과 회의 등으로 모든 일이 끝나는 것은 저녁 10시를 넘기기 일쑤이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정말 어처구니 없는 발상이다.
무엇보다 은행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불편은 전혀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들의 편의와 퇴근시간만을 챙기겠다는 것은 극단적 이기주의에 불과하다.
아무리 조합원들을 보호할 의무가 있는 노조라 하더라도 상식을 가진 사람들이었다면 그런 주장을 생각해내지도 못했을 것이다.
물론 창구마감 이후에도 여러가지 챙겨야 할 일들이 많기 때문에 밤 늦게 퇴근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도 적지 않을 것이다.
현실이 그렇다 하더라도 이는 은행 내부의 업무개선 등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다.
그것을 어찌 영업시간을 단축해서 해결하겠다고,배부른 주장을 내놓은 것인지 도무지 이해할 방법이 없다.
속된 표현으로 고객을 '봉'으로 여기는 작태가 아닐 수 없다.
창구 서비스에 높은 수수료를 부과해 수익을 올리고 있으면서도 일이 힘드니까 고객들이 은행원 편의에 맞춰 업무를 빨리 끝내달라고 주장하는 것이 과연 정상적인 사람들의 생각인가.
게다가 은행원들은 어느 업종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은 최고수준의 급여와 대우를 받고 있지 않은가.
지금은 무한경쟁시대다.
어느 분야이건 생존을 위해 피나는 경쟁을 벌이고 있다.
유통업체들은 고객 만족을 위해 24시간 영업을 마다하지 않고,병·의원들마저 토·일요일 진료 등 서비스 경쟁에 나서고 있는 것이 산업현장의 모습이다.
은행노조가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변명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얼마 전 이 문제가 불거진 이후 금융노조 홈페이지가 네티즌들의 비난으로 도배되고 있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창구영업시간 단축을 요구의제로 공식 확정했다고 하니 어안이 벙벙할 뿐이다.
그러니 귀족노조라는 비난이 쏟아지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귀결이 아닌가.
지금이라도 이를 철회하고 오히려 종합금융서비스 시대에 걸맞은 고객서비스 향상 대책을 내놓는 것이 올바른 순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