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가 경쟁력이 지난해보다 3단계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발표한 '2007년 세계경쟁력 평가'에 따르면,한국의 경쟁력은 조사대상 55개국 가운데 29위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32위였다.

아시아 국가들 가운데는 10위,인구 2000만명 이상 국가에서는 12위를 차지했다.

부문별 경쟁력을 보면,정부 효율성(41→31위)과 인프라 분야(22→19위)에서는 순위가 개선된 반면 경제성과부문(36→49위)은 크게 떨어졌다.

기업 효율성 부문은 전년과 동일한 수준(38위)을 유지했다.

경제성과 부문 순위가 크게 떨어진 것은 부진했던 경기상황과 교역조건,외국인 투자 부진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세부 부문별로는 △고용(15위) △재정정책(10위) △과학·기술 인프라(각각 7위,6위)는 경쟁력이 상위 수준에 랭크됐다.

특히 장기 실업률(1위)은 세계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제무역(45위)과 △외국인 투자(43위) △생활비용(51위) △사회적 인프라(52위) 부문에서는 성적이 좋지 않았다.

해외 직접투자는 규제완화 등의 효과로 순위가 개선됐으나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과 환율여건 악화로 인한 경상수지,관광수입 등은 전년도에 비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효율성은 10단계가 올랐는데 기업 관련 법과 제도를 고친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여전히 인종·양성 차별 정도(51위)나 국제거래의 자율적 협상여부(51위),환율안정성(49위) 등은 경쟁력의 약점 분야로 지적됐다.

국가별 순위를 보면 미국이 부동의 1위를 차지했고 싱가포르와 홍콩이 지난해와 자리를 바꿔서 그 뒤를 이었다.

독일(25→16위) 프랑스(30→28위) 등 유럽 주요 선진국들과 중국(18→15위)의 순위도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일본은 16위에서 24위로 크게 떨어졌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이 3단계 오른 것은 참여정부가 그간 추진했던 성장잠재력 제고 노력이 성과를 낸 것으로 풀이된다"며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리의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규제완화 등 기업 경영환경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후 인적·물적 자본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만들고,기업규제 폐지·완화 등을 통해 기업의 거래 비용을 줄이는 한편 관광수입 제고와 외국인 투자 확대를 위해 서비스 분야의 개방을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