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시내 518개 동사무소에 대한 구조조정에 나선다.

서울시는 9일 25개 자치구 행정관리국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시-자치구 연석회의'를 열고 최근 마포구가 실시한 행정동 통·폐합 사례를 청취한 뒤 다른 자치구들에도 이 같은 통·폐합 방안을 검토할 것을 당부했다.

오세훈 시장은 "전 자치구가 다 함께 동 기구 개편을 추진할 수 있도록 행정·재정적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며 "통·폐합으로 발생한 유휴시설은 공공 보육센터,도서관 등으로 활용하는 한편 여유 인력에 대해서는 도시디자인 등 새로운 행정 수요 부서에 재배치,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우선 첫 단계로 민원 수요가 적은 동사무소 100곳 정도를 다른 동사무소와 통·폐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또 동 통·폐합을 적극 추진하는 구청에는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마포구는 최근 관내 동사무소 24개 중 4개를 줄이는 한편 5개씩 4개 권역으로 묶어 구와 동의 중간 성격의 행정 단위인 '타운'을 신설했다.

각 타운의 중심동에는 '현장행정 지원센터'가 설치됐다.

없어진 동사무소 4곳에는 어린이도서실,컴퓨터 교실,치매센터 등이 들어서 운영 중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동사무소가 각 지역 독거노인이나 저소득층 어린이들의 복지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데다 고령화 등으로 복지수요가 더욱 늘어나는 상황에서 동사무소를 통·폐합할 경우 지역 단위 복지사업에 상당한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