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진 재경부 정책관 "단기외채 급증 막을 새 제도 도입 추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성진 재정경제부 국제업무정책관은 "단기 외채 급증을 막기 위해 꼭 필요하다면 새로운 제도를 도입할 수 있다"고 10일 말했다.
김 정책관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단기 외채 등 외환시장 수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권오규 부총리가 최근 일본 출장 중 단기 외채에 대한 대책을 언급한 것도 시장 수급에 영향을 주는 방식을 같이 강구하고자 한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권 부총리는 지난 6일 일본 교토에서 열린 제40차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참석 중 기자들과 만나 "외국 은행 지점 중심의 단기 외채 급증을 막을 방법은 많이 있다"고 얘기한 바 있다.
김 정책관은 "개별 경제주체들의 행위가 사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측면에서는 맞더라도 경제 전체로 문제가 있으면 이를 조정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감독 당국의 우려를 반영해서인지 최근 단기 외채 증가 현상이 빠르게 수그러들고 있다"고 전했다.
김 정책관은 원·달러 환율에 대해 "중기적으로는 모든 기관들이 올라갈 것으로 보고 있으며 크게 염려하지 않는다"며 "올 연말엔 원·달러 환율이 지금보다 높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환율이 적절한 속도로 움직이도록 정부가 조정할 수 있다"며 "투기세력의 지나친 움직임에 대해서는 가만두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 정책관은 "올 들어 해외 증권투자 규모가 작년에 비해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다"며 "이것이 직간접적으로 외화 수급 관리 측면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해외 투자의 지역적 쏠림 현상 등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해 나가겠다"며 "인위적으로 규제한다는 뜻은 아니고 은행 등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주는 데 초점을 두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
김 정책관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단기 외채 등 외환시장 수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권오규 부총리가 최근 일본 출장 중 단기 외채에 대한 대책을 언급한 것도 시장 수급에 영향을 주는 방식을 같이 강구하고자 한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다.
권 부총리는 지난 6일 일본 교토에서 열린 제40차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참석 중 기자들과 만나 "외국 은행 지점 중심의 단기 외채 급증을 막을 방법은 많이 있다"고 얘기한 바 있다.
김 정책관은 "개별 경제주체들의 행위가 사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측면에서는 맞더라도 경제 전체로 문제가 있으면 이를 조정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감독 당국의 우려를 반영해서인지 최근 단기 외채 증가 현상이 빠르게 수그러들고 있다"고 전했다.
김 정책관은 원·달러 환율에 대해 "중기적으로는 모든 기관들이 올라갈 것으로 보고 있으며 크게 염려하지 않는다"며 "올 연말엔 원·달러 환율이 지금보다 높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환율이 적절한 속도로 움직이도록 정부가 조정할 수 있다"며 "투기세력의 지나친 움직임에 대해서는 가만두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 정책관은 "올 들어 해외 증권투자 규모가 작년에 비해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다"며 "이것이 직간접적으로 외화 수급 관리 측면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해외 투자의 지역적 쏠림 현상 등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해 나가겠다"며 "인위적으로 규제한다는 뜻은 아니고 은행 등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주는 데 초점을 두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