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1차 협상이 11일 순조롭게 끝났다.

양측은 처음부터 탐색전을 건너뛴 채 실질적 논의를 벌여 상품 양허방식 등 당초 목표한 '기본적인 협상틀(framework)'을 마련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 같은 협상 속도는 한·미 FTA에 비해 훨씬 빠른 것이다.

다만 우편·택배,통신 등 서비스 분야와 지식재산권 분야에선 이견이 노출됐다.

양측은 우선 공산품 관세를 10년 내에 모두 철폐하자는 원칙에 합의했다.

관세 철폐 방식은 즉시,3년 내,5년 내로 단순화하며 민감품목에 대해선 별도로 정하기로 했다.

또 전체 상품의 관세 철폐 수준을 액수와 품목 모두에서 최소 95% 이상으로 하기로 했다.

이는 한·미 FTA 때 자유화율이 100%에 육박했던 데 비해 다소 낮은 수준으로 농산물 등에서 예외를 인정하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상품 양허안은 2차 협상 전인 오는 6월 말 교환하기로 했다.

금융,우편 등 서비스 분야에 대해선 다소 의견이 엇갈려 향후 협상이 쉽지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개방의 방식으로 한국은 네거티브(비개방 분야 열거) 방식을,EU는 포지티브(개방 분야 열거) 방식을 주장해 합의하지 못했다.

우편·택배의 경우 EU가 민영화를 전제로 한 문안을 제시한 데 비해 한국은 우편은 국가 독점 사업이라며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대했다.

또 통신 서비스의 국경 간 규제에 대해서도 EU는 철폐를 주장했다.

양측은 오는 7월16~20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2차 협상을 하며 그 이전인 6월 초 당초 예정된 경제공동위원회 회의 때 필요한 분과별로 중간 협상을 갖기로 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