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고 유연탄 우라늄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 기업들이 몽골에서 유연탄과 우라늄 광산 개발에 참여하게 될 전망이다.
한국과 몽골의 산업자원부는 11일 울산에서 한·몽골 자원협력위원회를 열어 몽골의 17개 전략 광산에 대해 양국 공동개발 방안을 논의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17개 전략 광산 가운데 타반톨고이 유연탄광과 우라늄광 개발사업에 국내 기업들의 관심이 많아 우선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타반톨고이 유연탄광은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남쪽으로 540㎞ 가량 떨어져 이며 추정 매장량이 50억t에 이른다.
몽골은 이 광산의 개발 및 발전 철도 송수관 등 인프라 건설에 140억달러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한국 기업의 참여를 원하고 있다.
한국과 몽골은 이날 자원협력위에서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이달 말 엥흐바야르 몽골 대통령 방한시 타반톨고이 탄광 공동개발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MOU)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산자부는 이외 3곳의 우라늄광산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공동개발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
한국과 몽골의 산업자원부는 11일 울산에서 한·몽골 자원협력위원회를 열어 몽골의 17개 전략 광산에 대해 양국 공동개발 방안을 논의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17개 전략 광산 가운데 타반톨고이 유연탄광과 우라늄광 개발사업에 국내 기업들의 관심이 많아 우선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타반톨고이 유연탄광은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남쪽으로 540㎞ 가량 떨어져 이며 추정 매장량이 50억t에 이른다.
몽골은 이 광산의 개발 및 발전 철도 송수관 등 인프라 건설에 140억달러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한국 기업의 참여를 원하고 있다.
한국과 몽골은 이날 자원협력위에서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이달 말 엥흐바야르 몽골 대통령 방한시 타반톨고이 탄광 공동개발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MOU)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산자부는 이외 3곳의 우라늄광산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고 공동개발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