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공개된 '우리나라 당뇨병의 관리및 의료비용,사망 현황' 보고서는 △당뇨병 환자 규모 △증가추세 △관리의 허술함 등 세가지 면에서 충격을 주고 있다.

또 상황이 심각한데도 그동안 당뇨병에 대한 종합 보고서가 없었다는 점에서 반성과 함께 지금이라도 빨리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24만명 '관리 사각지대'에 방치

자료에 따르면,2003년 기준으로 전체 당뇨병 추정환자 269만명 가운데 145만명만이 의료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꾸어 말하면 나머지 124만명은 당뇨에 걸렸는데도 전혀 치료나 검사를 받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의 사망률은 의료기관 이용자 기준의 3.95%보다 휠씬 더 높을 수 있다는 결론이다.

김재용 심평원 지식기반팀장은 "당뇨는 발견만 하면 식이요법 운동 등 꾸준한 노력으로 합병증이나 더 이상의 악화를 막을 수 있는 질병"이라며 "당뇨 조기검진을 위한 검사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이를 통해 매년 10%에 달하는 증가율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발견된 환자에 대한 관리도 강화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의료기관들은 현재 당뇨발생 시점을 알 수 있는 첫 진료일 기재조차 63.44%만 하고 있으며,혈압측정(55.62%)이나 비만도 측정(17.90%)도 대충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비만환자는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큰 데도 그냥 지나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당뇨환자는 피가 제대로 안 돌아 발이 썩을 수 있는데도 6개월에 최소 한 번은 해야 하는 발 관찰도 0.72%만 이뤄지고 있었다.

◆당뇨 기본검진에 '특별수당' 지급해야

이런 결과로 당뇨병 환자의 사망률은 3.95%에 달해 전국민 평균 사망율보다 3.11배나 높았다.

특히 2003년 첫 당뇨진단을 받은 경우 일년 내 사망률이 7.56%에 달했다.

100명 중 8명은 관리미흡으로 사망한 것이다.

당뇨환자 증가로 당뇨로 인한 진료비 지출(2003년,3조2000억원)은 건보 전체 진료비(16조5000억원)의 19.25%를 차지하고 있다.

김 팀장은 "현행 행위별수가 체계에서는 의료기관들이 도움이 안 되는 당뇨검사에 신경을 쓰지 않을 것"이라며 "의료기관들이 당뇨 기본검사를 완수했을 때 특별수당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호주의 경우 비만도 혈압 콜레스테롤 당화혈색소 등 당뇨 기본항목 검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했을 때 연간 환자 1인당 40호주달러(약 6만6000원)의 특별수당을 의료기관에 지급하고 있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