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서비스가 저임금 및 비전문직에 치중됐으며 돌보미,도우미,방과후 학교교사 등에 대한 교육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중앙부처들이 비슷한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문제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정향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전문연구원은 11일 대전시 국제지식재산연수원에서 기획예산처 주최로 열린 '사회서비스 일자리의 효과적 창출을 위한 워크숍'에서 '사회서비스 인력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자격관리제도 개선방안'이라는 주제 발표문을 내놨다.

그는 발표문에서 "노인·산모·중증장애인 도우미 인력 파견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이나 인력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전반적으로 인건비·교육비 등의 예산 문제가 심각하고 실습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산모·신생아 돌보미 제도는 교육장 확보가 어렵고 교육 강사료가 낮아 운영에 문제가 있다"면서 "중증장애인 돌보미도 자활후견기관 103개소에서 보조원 1059명을 파견해 4474명의 장애아동을 담당하고 있으며 월 67만원의 급여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정 연구원은 또 "방과후 학교 교사는 별도의 교육훈련 체계를 갖고 있지 않다"면서 "시도 교육청별로 운영지침이 있으나 모집채용이 해당 학교장과의 계약으로 이뤄지고 있어 채용이 자의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은영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는 '사회서비스 향상을 위한 중앙-지방간 역할 분담 방안'이라는 주제 발표문에서 "현재 사회서비스 일자리등이 지나치게 저임금 비전문 직종에 치중된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최 교수는 또 "급하게 사업을 개발하고 그에 필요한 일자리를 몇시간의 강의를 수료한 사람에게 제공한다면 서비스의 질도 떨어지고 고용의 연속성·안정성도 확보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