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시그마' 메가 컨퍼런스] (이렇게 하면 실패한다) 안병진 건국대 교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비전 불분명하고 형식 치우치면 "6시그마 정착 아닌 정체 될 것"
안병진 건국대학교 응용통계학과 교수는 식스시그마 메가컨퍼런스 A세션에서 '6시그마 추진과정에서 정체상태의 원인과 극복방안'을 발표해 참가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6시그마의 추진과정을 도입·확산·발전·정착의 4단계로 구분하고,스스로 '정착단계'라고 주장하는 기업들 중 상당수가 실제로는 이전 단계의 문제들을 극복하지 못한 채 정체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예컨대 도입 단계에서는 △불분명한 비전 △기존 혁신활동과의 충돌 △6시그마 기법의 형식적인 적용 △프로젝트 추진자의 리더십 부족 등이 실패 원인으로 꼽혔다.
특히 리더 혼자서 6시그마의 효용을 입증하고자 소규모로 이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그는 지적했다.
이 경우 구성원들의 공감대를 얻지 못해 실패하기 쉽다는 것.
6시그마를 무난히 도입했다 하더라도 현장에서 확산을 가로막는 수많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안 교수는 확산 실패의 원인으로 △부적절한 과제선정 △지나친 통제 등이 프로젝트팀의 활기를 잃게 만들며 불필요한 행정업무가 늘어나면 '형식주의'에 빠져들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실무자의 저항이나 부서·계층 간의 장벽도 6시그마가 현장에서 확산되지 못하는 원인으로 꼽혔다.
한 번 6시그마를 성공적으로 적용한 기업이라 해도 방심할 수는 없다.
6시그마를 추진했던 인력이 관료화되어 '옥상옥'을 이루는 경우나 부서 간에 비생산적인 경쟁을 벌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안 교수는 "공기업들은 명확한 비전 없이 형식만 도입하는 사례가 많은 반면 민간기업은 고객과 시장을 중심에 두지 않은 채 비용절감에 지나치게 비중을 두어 역효과를 내는 경우가 많다"며 "무조건 성과를 포장하려 하기보다는 현재 자신의 기업의 혁신활동이 정체상태에 빠져있지 않은지 냉철히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안병진 건국대학교 응용통계학과 교수는 식스시그마 메가컨퍼런스 A세션에서 '6시그마 추진과정에서 정체상태의 원인과 극복방안'을 발표해 참가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6시그마의 추진과정을 도입·확산·발전·정착의 4단계로 구분하고,스스로 '정착단계'라고 주장하는 기업들 중 상당수가 실제로는 이전 단계의 문제들을 극복하지 못한 채 정체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예컨대 도입 단계에서는 △불분명한 비전 △기존 혁신활동과의 충돌 △6시그마 기법의 형식적인 적용 △프로젝트 추진자의 리더십 부족 등이 실패 원인으로 꼽혔다.
특히 리더 혼자서 6시그마의 효용을 입증하고자 소규모로 이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그는 지적했다.
이 경우 구성원들의 공감대를 얻지 못해 실패하기 쉽다는 것.
6시그마를 무난히 도입했다 하더라도 현장에서 확산을 가로막는 수많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안 교수는 확산 실패의 원인으로 △부적절한 과제선정 △지나친 통제 등이 프로젝트팀의 활기를 잃게 만들며 불필요한 행정업무가 늘어나면 '형식주의'에 빠져들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실무자의 저항이나 부서·계층 간의 장벽도 6시그마가 현장에서 확산되지 못하는 원인으로 꼽혔다.
한 번 6시그마를 성공적으로 적용한 기업이라 해도 방심할 수는 없다.
6시그마를 추진했던 인력이 관료화되어 '옥상옥'을 이루는 경우나 부서 간에 비생산적인 경쟁을 벌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안 교수는 "공기업들은 명확한 비전 없이 형식만 도입하는 사례가 많은 반면 민간기업은 고객과 시장을 중심에 두지 않은 채 비용절감에 지나치게 비중을 두어 역효과를 내는 경우가 많다"며 "무조건 성과를 포장하려 하기보다는 현재 자신의 기업의 혁신활동이 정체상태에 빠져있지 않은지 냉철히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