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박상천 대표가 '친노그룹 및 국정실패 책임세력'을 배제한 통합론을 고수하면서 열린우리당 내에서 리모델링을 통해 대통합을 추진하자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일부 초ㆍ재선 의원들 사이에서 말도 안 되는 배제론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차라리 당의 간판과 구조를 바꾸는 리모델링을 먼저 모색한 뒤 대통합을 위한 선택을 하는 게 낫다는 목소리가 솔솔 흘러나오고 있는 것이다.

열린우리당 한 재선의원은 15일 "박 대표가 끝내 특정인사 배제론을 고집한다면 오히려 노무현 대통령과 합의를 보는 편이 낫다"며 "당의 간판을 바꾸고 외부인사를 영입하면 한번 해볼 만하지 않겠느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한 초선의원도 "배지를 안 달았으면 안 달았지 박 대표가 주장하는 그런 통합에는 결코 동의할 수 없다. 그럴 바에야 리모델링을 꾀한 후 통합을 모색하는 게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탈당을 예고했던 정동영 전 의장 측도 당에 남아 열린우리당을 개조하는 작업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계보 의원 중 탈당을 함께 할 수 있는 지역구 의원이 거의 없고,비례대표가 다수라는 현실을 감안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 리모델링론은 적절하지 않고,2ㆍ14 전당대회의 대통합 결의 정신에도 어긋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우상호 의원은 "리모델링 주장은 전대 결정을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안 된다"고 비판했고,신학용 의원도 "일부 의원들이 리모델링을 얘기하고 있지만 열린우리당은 사실상 사망선고를 받은 이상 대통합 추진에 매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