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株 강세.."주택법 개정안 규제완화 시그널 관측"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입법 예고된 주택법 시행령의 수위가 당초 예상보다 낮아졌다는 평가 속에 건설주들이 일제히 뜀박질하고 있다.
17일 오전 10시43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대우건설(0.8%)과 현대건설(1.0%), GS건설(3.4%), 대림산업(7.0%) 등이 나란히 오름세를 타고 있다.
쌍용건설(4.1%), KCC건설(1.0%), 동원개발(6.4%) 등 코스닥 건설주들도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건설업종 지수가 주요 업종 대비 상대적인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건설교통부는 16일 분양가 상한제 도입과 분양원가 공개를 주요 골자로 하는 주택법 개정안의 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입법예고한다고 밝힌 바 있다.
동 개정안은 7월 중 기본형 건축비의 구성내역 등이 별도 고시된 후 오는 9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굿모닝신한증권 이창근 연구원은 "이번 시행령은 지난 1월 발표된 부동산 안정 대책에 비하면 상당폭 완화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통상 분양가에서 50~60%를 차지하는 택지비에 대해 탄력 적용을 결정했기 때문.
건교부는 4월20일 이전 매입한 택지는 실매입가를 인정키로 했고, 이후 매입한 토지에 대해서는 감정가액과 가산비 합의 120% 이내에서 택지비를 인정키로 했다.
이 연구원은 "이러한 기준 완화로 분양가 상한제 시행 후 건설사들의 급격한 마진율 하락은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햇다.
한누리투자증권은 "점진적인 규제 완화를 통한 민간 주택공급 활성화의 시그널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투자심리에 긍정적일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 증권사 김동준 연구원은 "다만 지방은 분양원가 공개에서 실질적으로 제외됐고 지방 광역시의 경우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이 단축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 등에서 이러한 규제 완화의 수혜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재건축/재개발 잔고가 풍부한 대형 업체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형 건설주에 대해 긍정 시각을 유지하고 탁월한 이익 모멘텀을 보유한 대림산업을 최선호주로 추천했다.
한편 맥쿼리증권은 "분양가 상한제의 시행이 주택공급 감소로 이어져 오히려 부동산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면서 "따라서 이같은 제도가 장기간 유지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내 주택시장이 내년엔 회복세를 보일 것이란 분석이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serew@hankyung.com
17일 오전 10시43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대우건설(0.8%)과 현대건설(1.0%), GS건설(3.4%), 대림산업(7.0%) 등이 나란히 오름세를 타고 있다.
쌍용건설(4.1%), KCC건설(1.0%), 동원개발(6.4%) 등 코스닥 건설주들도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건설업종 지수가 주요 업종 대비 상대적인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건설교통부는 16일 분양가 상한제 도입과 분양원가 공개를 주요 골자로 하는 주택법 개정안의 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입법예고한다고 밝힌 바 있다.
동 개정안은 7월 중 기본형 건축비의 구성내역 등이 별도 고시된 후 오는 9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굿모닝신한증권 이창근 연구원은 "이번 시행령은 지난 1월 발표된 부동산 안정 대책에 비하면 상당폭 완화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통상 분양가에서 50~60%를 차지하는 택지비에 대해 탄력 적용을 결정했기 때문.
건교부는 4월20일 이전 매입한 택지는 실매입가를 인정키로 했고, 이후 매입한 토지에 대해서는 감정가액과 가산비 합의 120% 이내에서 택지비를 인정키로 했다.
이 연구원은 "이러한 기준 완화로 분양가 상한제 시행 후 건설사들의 급격한 마진율 하락은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햇다.
한누리투자증권은 "점진적인 규제 완화를 통한 민간 주택공급 활성화의 시그널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투자심리에 긍정적일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 증권사 김동준 연구원은 "다만 지방은 분양원가 공개에서 실질적으로 제외됐고 지방 광역시의 경우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이 단축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 등에서 이러한 규제 완화의 수혜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재건축/재개발 잔고가 풍부한 대형 업체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형 건설주에 대해 긍정 시각을 유지하고 탁월한 이익 모멘텀을 보유한 대림산업을 최선호주로 추천했다.
한편 맥쿼리증권은 "분양가 상한제의 시행이 주택공급 감소로 이어져 오히려 부동산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면서 "따라서 이같은 제도가 장기간 유지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내 주택시장이 내년엔 회복세를 보일 것이란 분석이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sere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