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승 공정거래위원장이 "삼성그룹이 지배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위원장이 삼성의 지배구조를 공개적으로 문제 삼고 나선 것은 지난해 말에 이은 두 번째다.

재계는 경쟁당국의 수장이 특정 기업의 고유한 지배구조를 자주 언급하는 것은 '기업 흔들기'일 뿐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권 위원장은 18일 오전 한 라디오 방송과 가진 인터뷰에서 "최근 여러 그룹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여러 가지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삼성그룹이 지배구조를 바꾸는 모범을 보여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11월에도 "삼성이 순환출자구조를 해소하고 삼성전자 삼성생명 삼성에버랜드 등 몇 개의 지주회사 체제로 가줬으면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재계는 이 같은 권 위원장의 발언이 사실상 그룹을 분할·해체하라는 메시지가 아니냐며 크게 반발했었다.

권 위원장의 잇단 삼성 지배구조 관련 발언에 대해 재계는 "경쟁당국의 수장이 개별 기업의 지배 구조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려 드는 건 적절치 않다"고 입을 모았다.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전무는 "기업의 지배 구조는 전적으로 해당 기업이 결정할 문제로 이를 정부 당국자가 자주 언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출자총액제한제도와 관련해서도 "대안 없이 출총제를 폐지하는 것은 어렵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재계 일각에서는 "공정위가 순환 출자 규제안을 다시 꺼내들기 위해 삼성을 타깃으로 삼은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지난 3월 관계부처 협의 끝에 순환출자규제를 출총제 대안으로 검토하지 않기로 결론내린 바 있다.

신현한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는 "기업의 특정한 지배 구조가 어떤 문제를 일으키기도 전에 미리부터 규제의 칼날을 빼어드는 것은 선진국에선 보기 힘든 일"이라고 말했다.

차기현 기자 kh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