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연구진에 한해 주 52시간를 예외 적용하자는 '반도체특별법' 통과가 사실상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결단에 달리게 되자 노동계와 경영계의 시선이 이 대표에게 쏠리고 있다. '우클릭' 행보를 이어가는 이 대표가 기존 당론을 뒤집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다. 이 대표가 최근 당내 반대를 물리치고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결정을 내린 것처럼, 반도체특별법 처리에서도 같은 상황이 반복될 수 있다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민주당 의원들은 친노동 법안을 발의를 지속하며 '주 52시간 예외 적용'에 우선 반기를 드는 분위기다. ○이재명 "반도체 주 52시간 예외 필요 공감"4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주 52시간 예외' 적용 조항과 관련해 의견을 하나로 모으지 못한 상황이다. 이 대표는 전날 민주당 반도체특별법 정책토론회에서 반도체 연구진에 한해 '주 52시간 예외'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그는 "1억3000만 원이나 1억5000만 원 이상의 고소득 연구개발자에 한해 그리고 본인이 동의하는 조건에서 특정 시기에 집중하는 정도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게 합리적이지 않냐고 하는 의견에 저도 많이 공감한다"고 했다. 이어 "민주당 내부서도 밤새 토론해야 한다"며 "기업이 살아야 나라 경제도 산다. 지금은 그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주 52시간 예외 적용 가능성에 양대노총의 반발이 극심한 상황에서, 서슴없는 '우클릭' 발언이 나온 셈이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은 전날 이 대표에게 경고 메시지를
여야가 4일 국정협의체 가동을 위한 실무협의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우원식 국회의장·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참여한 '4자 국정협의회를' 다음 주초 개최하기로 했다. 국민의힘 김상훈, 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정협의회 2차 실무협의를 마친 다음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전했다.진 정책위원장은 "최상목 권한대행, 우원식 의장, 이재명 대표, 권영세 비대위원장 4자가 참여하는 국정협의회를 개최하기로 했다"며 "다음 주 월, 화요일을 목표로 해서 구체적인 일정을 조율하기로 했다. 다음 주 내로 국정협의회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진 의장은 "국정 전반 관한 현안 격의없이 논의하는 자리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여야는 앞서 12·3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국정 혼란에 대응하기 위해 협의체를 신설하는 데 합의했다. 지난달 9일엔 이에 따른 첫 실무회의가 열렸지만 협의체 명칭을 '국정협의회'로 확정하고 참여자 구성을 합의하는 선에서 그쳤다. 이후 약 한 달간 별다른 접점을 마련하지 못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