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은 23일 워싱턴에서 끝난 제2차 경제전략대화에서 중국의 외국증권사 규제 해제,양국 간 민간 항공기 운항횟수 증가 등에 대해 합의했다.

그렇지만 핵심 쟁점인 위안화 절상 속도를 놓고는 이견(異見)을 좁히지 못했다는 소식이다.

다만 중국 측은 위안화 환율변동폭을 추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고 하니 위안화의 추이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위안화에 대한 양국 간 협의내용이 발표되지 않은 데다 원자바오 총리가 제시한 위안화 환율 개혁 원칙 중의 하나가 점진성인 만큼 당장 위안화 가치가 큰 폭으로 오를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미 중국이 지난 18일 달러화에 대한 위안화의 하루 변동폭을 0.3%에서 0.5%로 확대한 데다 저우샤오찬 중국 인민은행장도 최근 "위안화 환율이 이미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고 말한 것을 보면 더욱 그러하다.

그렇지만 미국이 중국 측에 위안화를 더 빨리 절상하지 않는다면 무역보복에 나서겠다고 위협하는 상황에서 이번 회담 결과가 지속적인 위안화 절상압력으로 작용할 것은 틀림없다.

문제는 중국 위안화의 계속적인 상승 추세는 우리 경제에도 큰 충격을 줄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중국이 위안화 절상과 경제 긴축조치로 인해 수출증가세에 제동이 걸리면 현지 조립이나 재가공에 의한 재수출 비중이 높은 국산 수출상품의 특성상 우리의 대(對) 중국 수출이 큰 타격을 받게 될 것은 너무도 분명하다.

그렇지않아도 지난 1∼4월 중 대중 무역흑자는 부품 수출 감소 등으로 인해 전년 동기보다 16.8% 줄어들 정도로 수출환경이 나날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원화에 대한 절상압력이 덩달아 커질 것이라는 점도 우려된다.

엔저로 인한 수출경쟁력 약화가 심각한 실정에서 원화가 추가적으로 평가절상된다면 중소기업은 물론 대기업마저 수출에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연초 이후 유지해온 두자릿수 수출증가율이 둔화(鈍化)된다면 최근 가시화되고 있는 경기회복세가 더 이어지지 못하는 최악의 국면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점도 걱정되는 대목이다.

따라서 정부당국은 이번 미국과 중국의 합의내용이 우리에게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점검해보고,특히 위안화 절상에 따른 파급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기업들도 환위험 관리시스템을 강화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