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車부품업체 오토리브, 법규 바뀌어 창고 못짓자 철수 검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GM대우에 안전벨트 에어백 등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지난달 공장 증설까지 마쳤습니다. 그런데 관련 법규 변경으로 생산에 꼭 필요한 물류창고 건설이 어려워져 생산라인 가동이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경기도 화성시 동탄지역에 위치한 스웨덴의 세계적인 자동차 부품업체 오토리브(Autoliv) 한국법인의 이성민 사장은 24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내년 초부터 GM대우에 제품을 공급해야 하는데 자재창고 건설이 늦어져 생산라인 가동이 힘들어지면 공장을 중국으로 옮길 수밖에 없다"며 답답한 속 사정을 털어놨다.
최근 경기도와 함께 국무조정실에 관련 법규 개정을 요청했다는 이 사장은 "생산 일정이 빡빡해 조만간 스웨덴 대사관을 찾아가 한국 정부에 창고건설을 허용해 달라는 요청을 하도록 부탁해 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2002년 화성 동탄에 자리잡은 뒤 지난달 3차 증설까지 끝내고 내년 초 또다시 증설을 계획 중인 오토리브가 이처럼 생산라인 중국 이전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은 당초 약속과 달라진 정부 규제 때문이다. 이 회사가 2001년 경기도와 투자협약을 맺고 공장을 세울 당시 공장부지 1만2000여평에 건물을 세울 수 있는 건폐율은 60%였다. 그러나 이번에 660여평(2200㎡) 규모의 창고 신축을 추진하면서 뜻밖의 장애물에 막혔다. 최근 중앙정부의 국토계획법 제정과 함께 창고부지 일대가 도시계획구역으로 포함돼 관리지역 건폐율 40%,농림지역 20% 등으로 건설규제가 크게 강화된 것이다.
결국 지난달 안전벨트 에어백 등을 생산하는 연면적 6000여평(2만㎡) 규모의 공장을 준공한 회사 측은 필수시설인 창고를 확보하지 못해 공장을 정상적으로 가동하지 못하게 된 셈이다.
경기도는 지난 21일 비도시지역에서 도시지역으로 편입된 지역에 한해 3년 정도 경과규정을 둬 옛 규정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관련법령 개정을 국무조정실에 요구했으나 시원한 답변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이 사장도 "당초 투자협약안대로의 약속은 지켜져야 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김문수 경기지사도 최근 내부회의에서 "외자유치를 해놓고 공장을 지을 수 없도록 하면 어떻게 해외기업을 끌어들일 수 있겠느냐"며 불만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토리브사는 2002년 신축 당시 50명에 불과했던 종업원 수가 현재 600명을 넘는 등 지속적인 공장 증설로 지역 고용창출에 크게 기여하는 모범적인 외국 투자기업으로 꼽힌다는 게 경기도의 설명이다. 오토리브는 투자를 확대해 2010년까지 매출 4000억원,고용인원 1000명의 수준까지 늘린다는 방침이다.
수원=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